‘IT경기 불안’이 △고유가 △미국 금리인상 △중국발 위기 등과 더불어 세계 경제회복의 4대 악재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8일 ‘글로벌 IT경기, 침체 국면 진입 예상’이란 보고서를 통해 최근 IT경기에 대해 확장론과 재침체론 두 가지 관점에서 논란이 일고 있으나 산업내 초과 공급 현상이 단기간내 반전되기 어렵기 때문에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시각의 배경으로 공급·수요 양측면 모두에서 경기 회복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공급확대 지속, 수요는 지연=공급측면의 경우 △반도체 제품 수명 주기의 단축 △세계 경제 및 IT 경기 회복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 등으로 최근 수년간 반도체·LCD 등 주요 IT제조업체의 설비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져 공급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았다.
수요측면에서도 본격적인 세계 PC 교체 시기가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으며 세계 경제 3대 악재(미국 금리 인상, 중국발 위기, 고유가)로 큰 폭의 시장 수요 확대에 기여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1년여 동안 반도체 가격의 상승의 원인은 실수요 확대보다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PC 생산업체들이 반도체 물량을 선점하기 위한 가수요 측면이 크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IT침체 장기화 땐 경제영향 막대=보고서는 세계 경제 3대 악재에 이어 IT경기마저 꺾일 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것으로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IT산업 생산은 국내총생산(GDP)과 민간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4%와 9.5%에 불과하지만 설비투자 및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5.6%와 38.4%에 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IT경기가 침체될 경우 수출 및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다. 이 경우 내수 회복 지연속에 내수와 수출이 모두 침체 국면에 빠지게 돼, 한국 경제 불황의 골이 매우 깊어질 전망이다.
◇투자 활성화·리스크 관리 등이 대안=보고서는 이 같은 IT경기 침체의 대응방안으로 정부는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해 △투자 관련 세제 및 규제 제도 개선을 통한 기업 투자 활성화 △가계 부문 소비 활성화를 위한 신용불량자 및 가계 부채 문제 해결 등 소비 여력 확충 정책을 펼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대책의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기업은 매출 부진과 이익 감소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선임연구원은 “반도체·PC·패널 등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IT산업이 신성장산업이 아닌 성숙산업으로 수요의존적이기 때문에 세계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까지 안될 경우 일본식 장기불황의 상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을 감안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배기자@전자신문, joo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T 경기 침체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