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이동 과열속 유통망은 `썰렁`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양방향 번호이동지수

 양방향 번호이동의 역풍이 거센 가운데 전통적인 유통망인 대리점과 판매점들이 붕괴하고 있다. 번호이동 시장 과열에 따른 부작용은 여전한 채 유통망이 일시에 무너지는 결과만 빚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번호이동을 시행한 후 사흘동안 KTF에서 SK텔레콤으로 이동한 가입자가 4만4000명을 넘어섰다. SK텔레콤에서 KTF, LG텔레콤 두 개 사업자로 이동을 시작한 지난 1월, 첫 4일동안 4만명이 이동했던 것과 비교하면 역풍이 훨씬 거세게 분 셈이다.

 그러나 대리점과 판매점이 몰린 테크노마트나 용산전자상가엔 지난 1월 번호이동 고객이 쇄도했던 것과 달리 썰렁한 모습이다. 특히 지방 대리점 등에선 아직도 ‘공짜 휴대전화’ 플랭카드가 속속 내걸린 반면 최대 시장인 서울의 대리점은 개점 휴업상태다.

 테크노마트의 한 대리점 사장은 “휴대폰 매장이 뻥 뚫린 것처럼 썰렁하다"며 "통신위가 사업자들에 과징금과 영업정지를 내린 이후 계속된 현상”이라고 전했다.

 사업자들에 따르면 이는 통신위의 단속이 심한 서울지역에선 직원들의 지인판매와 방문판매, 법인대상 특별판매 등 비정규 유통망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상반기 대리점, 판매점에 뿌려졌던 대규모 리베이트도 이들 비정규 유통망으로 대부분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위 관계자도 “7월 2차 번호이동제 시행이후 서울지역에서는 영업조직을 이용한 특판과 일부 고객 대상의 타깃마케팅, 지인판매 등을 주로 조사중”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기존 유통망 중심으로 “불법 보조금이 쉽게 드러나지 않는 음지로 들어간 것 말고는 달라진 게 없지 않느냐”며 “시장 과열은 여전하고 오히려 유통망이 급격히 무너지는 부작용만 커진다”는 불만도 거세졌다.

 탄탄한 대리점망을 가진 SK텔레콤이 고객 서비스 접점으로 대리점을 전환한다는 전략을 검토하고 있어, 기존 휴대폰 유통망의 일대 체질전환도 예상된다. 한 대리점 사장은 “차라리 문을 닫고 특판, 방판에 나서야 할 게 아닌가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한편, 양방향 번호이동이 초기부터 과열되면서 SK텔레콤과 KTF, LG텔레콤 등이 상호 비방전에 나섰다. KTF와 LG텔레콤은 4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SK텔레콤이 ‘클린마케팅’ 서약을 깨고 과도한 리베이트와 불법 보조금을 지급해 공짜 단말기가 난무하고 있다”며 “정부와 통신위가 즉각적인 제재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SK텔레콤은 “KTF가 명의 변경후 3개월이 안되면 번호이동을 못한다는 등 잘못된 정보를 고객들에게 전달해 고의적으로 번호이동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비난했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