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집적지 주변 대학을 산업협력체제로 바꾸어 산업단지의 혁신까지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한 ‘산·학협력 중심 대학사업’을 확정, 시행에 들어갔다. 전국 산업집적지 주변 대학 10여곳을 선정해 산·학협력이 가능하도록 연구개발(R&D) 장비에서부터 인력양성 사업에 이르기까지 패키지 형태로 지원해 이들 대학이 지역 산업단지의 R&D센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산업단지 주변 대학의 산·학협력 활동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제조·생산 중심의 기존 산업단지를 R&D 및 기업활동 지원 기능까지 갖춘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하겠다는 것으로 방향을 제대로 잡은 것이라 할 수 있다.
R&D투자가 비슷한 국가라도 기업과 대학이 얼마나 잘 협력하느냐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다르다는 OECD의 지적을 감안하면 산·학협력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사실 지금까지 우리의 산·학협력은 대부분 특정 교수와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을 정도로 미흡했다. 이는 엄밀한 의미의 산·학협력은 아니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대학과 기업 간 산학 협력이 적은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특정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대학 연구소나 연구기관이 적고 선진국과 달리 연구비 지원을 요구하는 대학과 상용기술을 원하는 기업 간의 시각차 등이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이번 사업을 추진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이러한 산·학협력의 문제점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업 연구원이 대학에서 관련 교과를 이수하고 회사로 돌아와 R&D 프로젝트를 수행해 성공할 경우 이 성과를 인정한 대학이 학위를 수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 석박사 제도’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어 산·학협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본다. 뿐만 아니라, 지식·기술의 저수조인 대학들이 상아탑을 초월해 수요자인 산업계로 더 가깝게 다가설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정책은 대학시스템 개선과 산업단지의 기능 보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뜻이 강하다. 때문에, 산업정책 주무부서인 산업자원부와 교육인적자원정책을 총괄하는 교육인적자원부가 합동으로 추진한다는 점에서 실효성이나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본다.
이번 정책은 대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대학들이 얼마나 기업의 관심을 끌어들이느냐가 이번 정책의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 측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면 산·학협력이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만큼 산·학협력형 대학으로 전환하기 위한 대학운영시스템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기업수요에 맞춰 대학교육을 개편한다든지 산업계 출신 교수임용, 상호 인사교류 등은 어떻게 보면 이미 대학 스스로 했어야 할 일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수요자 중심의 교육개선은 대학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하다. 특히 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중소기업의 기술·인력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보유통망이 갖춰져야 한다. 이런 점에서 수요자인 기업과 공급자인 대학이 서로 충분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청년실업의 원인 중 하나가 기업과 대학의 부족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산업현장 수요와 유리된 대학의 인력양성에 있다는 지적이고 보면 더욱 그렇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데이터 시대의 전략적 선택, 엣지 AI
-
2
[ET시론] 2025년을 준비하는 로봇 산업
-
3
[ET톡] 경계해야 할 중국 반도체 장비 자립
-
4
[ET대학포럼] 〈202〉저성장 한국 제조업, 홍익인간에서 길을 찾다
-
5
[사설]국회 '반도체 특별법' 논의 속도 내야
-
6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5〉일자리 문제는 시간 싸움
-
7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1〉CES 2025가 보여 줄 'AI 비즈니스 혁신' 3가지
-
8
[GEF 스타트업 이야기] 〈54〉한 없이 절망 했고, 한 없이 기뻤다
-
9
[인사] 신한카드
-
10
[사설] 트럼프 2기 산업 대비책 힘 모아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