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무선사업자 휴대인터넷 기술개발 박차

정통부 휴대인터넷 신성장산업 육성에 화답

 2.3㎓ 휴대인터넷 서비스 도입의 관건이던 기술 기본규격이 확정되면서 정책당국은 물론 업계에서도 조기 산업화를 향해 행보가 빨라졌다.

 주무부처인 정보통신부는 4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휴대인터넷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삼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한편, 유무선 통신사업자들은 연내 사업권 획득과 기술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정통부는 연내 사업자 선정의 최대 변수였던 기술 기본규격이 마련에 성공함으로써 향후 사업자 선정 등 허가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무엇보다 장비·단말기 등 국내 제조업계의 국산화율을 높이는데 역점을 둘 계획이다.

 정통부는 휴대인터넷 기술 기본규격이 국내 업계가 공동 개발중인 ‘HPi’에 대부분 맞춰져 국내 업계의 공통목표인 지적재산권(IPR) 20% 이상 확보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기술 기본규격대로 10여개 국내외 업체들의 기술제안을 받은뒤 4월께 표준초안을 작성하고, 상반기까지는 세부 기술표준을 정한다는 구상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조만간 세부 기술규격별로 평가기준을 만들어 참여업체들로부터 기술제안을 받을 계획”이라며 “상반기까지 업계의 모든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표준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HPi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삼성전자,전자통신연구원(ETRI)과 KT·SK텔레콤·하나로통신 등 통신사업자들이 당초 목표한대로 IPR 확보율 20%선을 달성하면 해외 기술보유 업체들과 일종의 IPR풀을 형성, 로열티 지급 상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월말 표준초안이 나올 경우 곧 사업자 허가 공고가 가능해 오는 9월께 사업자 선정을 단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플라리온·어레이콤·나비니 등 일부 외산업체들이 국내 업계 주도의 기술표준화에 끝까지 반발해 생길 통상마찰 시비가 여전히 복병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일단 사업권 허가 시기를 비롯한 휴대인터넷 도입 정책을 최종 확정한 다음 미국측과 통상 협의가 최대 현안으로 다가올 것”이라며 “무선인터넷 위피 등으로 한 차례 진통을 겪은 만큼 휴대인터넷 표준협상은 신중한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업권 채비에 한창인 업계에서도 LG텔레콤 등 그동안 관망하던 후발사업자들이 최근 가세하면서 다시 사업권 경쟁에 불붙을 전망이다. 발빠르게 준비해왔던 KT·SK텔레콤·하나로통신 등은 향후 예상되는 허가정책에 따른 사업계획서 준비 및 사업화 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으며, 업체에 따라 기술개발과 더불어 기지국 연동개발 등 실제 투자예측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향후 기술개발 진척도나 사업자수 등 정책방향에 따라 시장성은 물론이고 사업모델·투자규모도 크게 변동될 수 있다”면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수립에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제안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