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손승원 ETRI 네트워크보안연구부장

 “미국이 내년부터 지문인식 기술로 신원을 확인하는 등 이르면 3∼4년 내 모든 여권과 선원 신분증 등에 생체인식 기술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생체인식포럼을 맡아 3년째 이끌고 있는 손승원 의장(46·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보안연구부장). 그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워크숍에서 “생체인식 기술의 세계적인 상용화 흐름에 대비해 우리 나라도 뭔가 준비해야 한다”며 “우선 우리 기술로 가능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등 방법론부터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생체인식기술은 네트워크 기술과 융합되어야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며 서울시 교통카드나 향후 인터넷 웹 접속 등에서도 지문인식의 활용이 수년 내에 보편화 될 것이라고 말한다.

 “한동안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패스21’사건으로 생체인식 업계가 된서리를 맞은 적이 있습니다. 당시엔 기술개발의 세계적인 추세나 연구 결과물에 대한 논의 자체가 의미가 없을 정도로 모두 거짓말로 몰리기도 했습니다.”

 손 의장은 “그러한 사회분위기 때문에 정보통신부가 예산이나 사업집행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미루던 시절도 있었다”며 “이제는 많이 달라졌다”고 설명한다.

 그는 “미국이 9·11테러 이후 여권에 붙어 있는 사진만으로는 개인 신상의 진위를 가리기가 어려워지자 지문이나 홍채 등을 이용하려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이 전환점의 계기가 됐다”며 “선원들의 입항이나 출항때도 생체인식 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본다”고 기술 확산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실제 여권이나 비자에 생체인식 기술을 도입하자는 논의가 현재 법무부와 외교통상부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 해양수산부에서는 선원 등에 적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생체인식 기술의 국제표준화와 관련해서도 그는 우리 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 생체기술표준화위원회(SC 37)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등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생체인식시스템(BioAPI) 평가기술이나 정맥 데이터 포맷에 관한 표준안, 얼굴인식과 디지털서명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에 관한 표준안’ 등이 국제 표준으로의 선정을 앞두고 있을 만큼 국내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나 유럽만 해도 정부와 업계, 연구기관 등이 나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표준화 활동이 왕성하다”며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절실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