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전략 간담회`서 전문가들 한목소리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의 핵심인 지능형 홈네트워크 산업은 철저하게 민간주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관련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홈서비스통합공급자(HSA)’라는 새로운 업종의 육성 필요성도 제기됐다.
16일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지능형 홈 산업 발전전략 간담회’에서 전문가들은 정부는 기업들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산업기술대 김창섭 교수는 “지능형 홈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서비스를 통합제공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기존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에 대응되는 ‘홈서비스통합공급자(HSA)’ 업종을 새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교수는 HSA 육성은 ‘지능형 홈 1000가구 시범사업’과 연계해서 추진하며 동시에 한전(배전부문)의 통신망 인프라를 활용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장은 “지능형 홈 산업 발전사업은 ‘관’ 주도가 아니라 철저하게 ‘민’ 주도로 이뤄져야 하며 정부는 인력양성이나 R&D자금, 법·제도 개선 등 인프라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원장은 또 “이 사업의 궁극적 목표는 국내가 아니라 해외시장, 특히 중국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 만큼 공식적인 한중일 표준화 협력기구를 마련하고 그 안에 주제별 포럼을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씨브이네트의 김덕경 부사장은 “중국시장은 업체들이 똑같은 목적으로 똑같이 접근해 낭패를 본 게 사실”이라며 “정부 대 정부차원에서 공식창구를 만들어 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림INS의 서성만 상무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실질적으로 집안에 영화관, 백화점, 병원 등이 들어와 있는데도 소비자들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심리를 읽고 인식을 변화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앙대 장태규 교수는 “지능형 홈 산업은 그동안 시장을 이끌어온 단품화 추세를 통합시스템화 양상으로 변화시킬 것이니 만큼 누가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 것인지 명확하게 구분해야 산업으로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대해 윤진식 산자부 장관은 “정부는 지능형 홈 산업에서 기업들이 글로벌 마킷을 목표로 적정한 서비스와 경쟁력있는 기술을 확보해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여는 선봉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반조성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우선 민간 기업이 원활하게 시장을 조성해 나갈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 나가는 한편 기술 및 서비스 융합에 대비한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이 모델의 실질적 적용을 촉진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 구축 및 시범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획단의 지능형 홈 산업 발전전략 추진계획(안)에 따르면 지능형 홈 네트워크 사업은 우선 내년부터 5년간에 걸쳐 이뤄지며 1차년도인 내년에는 각종 서비스개발이 이뤄지고 2차년도에 테스트베드를 통해 개발한 기술을 검증하고 서비스를 융합하는 등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게 된다.
또 3차연도부터는 HSA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시범사업에 착수하는 한편 표준화 작업을 본격화하고 4차년도와 5차년도에는 최종적으로 유비쿼터스 지향형 홈 통합 솔루션 구축완료를 목표로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서비스 융합 작업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