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정보화 인력 수급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과 구직자간 편견과 왜곡된 인식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제도의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도로는 민관합동 대국민 이미지 개선작업 및 인턴십, 산업기능요원 지정 중소기업 체험 제도의 확대방안이 대두됐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지난달 25일부터 2주일 동안 5인 이상 기업 340개사와 고교 및 대학(원) 졸업생 등 정보화 부문 구직자 5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실태분석 자료’에 따르면 구직자가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로 ‘불안정한 미래’(37.1%)와 ‘저임금(27.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은 해당인력 채용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왜곡된 인식’(29.8%)을 꼽아 양자간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중소기업이 원하는 정보화 인력은 평균 2.33명(응답기업 평균종업원수 56명), 필요 경력은 2.86년(응답기업 평균 종업원수 53명)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중기 정보화 인력의 부족률이 25.7%로 조사됐으며 특히 유지보수를 포함한 운용부문의 부족률이 43.8%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필요한 인력을 모두 채용한 기업은 5.6% 수준에 그친 반면 일부(38.3%) 또는 미채용 기업은 56.1%에 달했다.
하지만 구직자의 취업결정시 ‘연봉수준’(32.8%)과 ‘근무환경’(20.1%)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부족인력 발생시 ‘근로시간 연장’(68.0%), ‘기존인력 배치’(29.9%) 등으로 대응한다고 응답해 당분간 중소기업의 정보화 인력 부족사태와 취업난은 계속될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바람직한 정부의 인력지원 시책으로 중소기업은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 지원’(54.8%)과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27.0%)를, 구직자는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 지원’(40.4%)과 ‘구인·구직 정보제공 강화’(25.6%)를 꼽았다. 또 구직자가 가장 선호하는 실업정책은 ‘직장체험 프로그램’(44.3%)으로 조사됐다.
<이정환기자 victolee@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중기정보화경영원 실태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