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커머스`시대 활짝

최근 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의대 파업으로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경제의 동맥인 물류가 끊긴 사상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가 물류 프로세스 개선의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화주·물류회사·운송회사간에 모바일 웹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효율적인 배차관리 등으로 현사태의 원인들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물류회사인 (주)성우의 텔레매틱스서비스센터 단말기에는 화주인 INI스틸의 제품을 실어 나를 화물 운반차 기사들의 현재 위치가 그대로 올라온다. INI스틸과 협력운송회사간에 웹 기반의 주문·위치정보·배차관리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과거처럼 운송회사의 화물차 기사 수십여명이 온종일 무턱대고 주문을 받기 위해 상시 대기하던 전근대적인 모습이 사라졌다.

 (주)성우의 텔레매틱스서비스센터 관계자는 “화물연대 파업에서 기사들은 다단계 운송체계를 줄이는 등 물류 프로세스를 개선하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모바일 시스템을 도입해 배차 정보를 화물차 기사들에게 휴대폰이나 PDA을 통해 뿌리면 기사들이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정보를 받고 응대함으로써, 화물을 받으려고 상시 대기하는 일이나 대형주차시설도 필요없게 되고 공차율을 줄임으로써 결국 기사들의 수익도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SI업체들이 정부 및 기업들의 모바일 영업지원 및 오피스 시스템 구축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곳은 대신정보통신. 대신정보통신(대표 이재원)은 LBS 기반 위에 모바일 솔루션을 결합해 실시간으로 이동체의 위치·상태 등 각종 정보를 디지털 지도 상에서 제공하는 모바일시스템을 개발, 화주사·운송사·협력사·차량을 연결하는 물류 기반 차량정보서비스 제공에 적극 나서고 있다.

GIS·물류 전문 SI업체인 한진정보통신(대표 고원용)은 GIS기반의 고객관계관리(CRM)솔루션 개발을 진행중인 가운데, 전국에 8000명 가량의 학습지교사를 확보하고 있는 모 학습지 회사를 상대로 모바일 시스템 구축을 추진중이다. 또 대한항공의 예약업무에 한해 모바일 업무환경을 위한 테스트에 착수한데 이어 연내 한진택배에 모바일 택배시스템 구축을 추진키로 했다.

 대형 SI업체들의 경우 기존 솔루션의 모바일 버전화 작업과 모바일 오피스·영업지원환경 구축사례 확보에 눈을 돌리고 있다. SK C&C(대표 윤석경)는 최근 삼립식품에 PDA 기반의 ‘대리점 무선 주문관리시스템’을 시범구축한데 이어 연내 삼립식품에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쌍용정보통신(대표 강복수)도 자사의 유무선 통합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 연내 차량 사고위치 추적·주행안내·엔터테인먼트 등 차량용 유무선 통합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나설 예정이며 대우정보시스템(대표 박경철)은 최근 대우조선(모바일컴퓨팅)·대우종합기계(무선 AS)·대우자판(무선영업정보)·대전시(수도검침시스템) 등에 모바일 업무환경을 구축했다.

 이밖에 모바일 데이터센터를 갖춘 LG CNS(대표 정병철)는 휴대폰을 통해 무선으로 그룹웨어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비롯해 차량위치추적 및 모바일 비디오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에 나섰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