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보기술(IT)과 환경산업의 중국 진출이 확대될 전망이다.
재정경제부는 최근 중국 베이징에서 ‘제7차 한·중 대외협력기금(EDCF) 정책협의회’를 열고 새 정부 출범 후 5년간 IT와 환경산업·서부대개발사업에 중점을 두고 중국에 대한 EDCF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고 10일 밝혔다.
대중국 경제개발지원자금인 EDCF는 지원자금 전액을 국내 원자재 구입에 사용해야 하는 기자재 차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EDCF로 지원하는 금액만큼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늘어나고 중국 현지 사업의 직접 참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우선 IT산업의 경우 우리나라의 ‘IT강국’ 이미지를 앞세워 중국 내 통신망 현대화와 전자정부시스템 구축 등에서 국내 기업들의 진출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환경분야는 대기오염 방지와 하수도 건설 등에서 유럽의 선진국들이 이미 중국시장을 선점해 진입장벽이 높지만 EDCF 지원을 통해 국내 기업들의 활로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서부대개발사업의 경우 도로·토지 개량·공영주택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지만 국내 기업들의 참여가 전무한 상태여서 우리나라의 자금지원만 이뤄진다면 특수를 누릴 수 있는 분야다.
EDCF 지원은 지난 2년간 허베이성 톈진-바오딩 도로건설에 2000만달러, 간쑤대 농업기술학교 200만달러, 상하이시 딩안구 입체주차장건설 252만달러, 충칭시 팽수도로건설 495만달러, 안우이성 광더 상수도건설 450만달러 등 모두 3400만달러에 달한다.
재경부 관계자는 “중국이 우리나라의 자금지원을 받기 위해 자국의 경제개발 계획에 IT와 환경, 서부대개발사업을 많이 포함시킬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종윤기자 jykim@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천장 공사없이 시스템에어컨 설치…삼성전자, 인테리어핏 키트 출시
-
2
캐나다·멕시코·中에 보편관세 부과…트럼프, 무역전쟁 개시
-
3
中 딥시크 사용 제한 확산…미국·대만·일본·이탈리아 등 확대
-
4
한국형 '딥시크' 키우자...전문가들 “인재양성과 규제완화가 핵심”
-
5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
6
이재용, 19개 혐의 모두 '무죄'…1심 이어 2심도
-
7
에스오에스랩-동운아나텍, 라이다 협약 체결…'8조 항만 자동화장비 시장' 공략
-
8
화성시, 19.8MW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돌입
-
9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
10
日 삼성월렛 서비스 시작…갤S25 시너지 노린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