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연, “산업클러스터, 국가정책으로 삼아야”

 ‘국가 차원에서 클러스터 형성을 주요 정책과제로 삼아라. 공단건설에서 클러스터 조성으로 산업집적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삼성경제연구소가 6일 발표한 ‘산업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와 발전 전략’ 보고서의 핵심이다.

 연구소는 이 보고서를 통해 “정부는 산업클러스터가 국가경쟁력의 핵심임을 인식하고, 부지·인프라 구축 등 하드웨어 지원 중심에서 네트워크 형성과 혁신 창출 등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지원방식과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 주도의 단기계획으로는 클러스터 형성이 불가능하며 1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자생적 발전이 가능하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측면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식경제시대를 맞아 산업집적지(클러스터)가 국가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한 연구소는 경쟁력의 원천인 지식창출과 기술혁신을 촉발하는 데 있어 클러스터는 매우 유효한 수단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소 측은 클러스터란 기업·대학·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과 상호작용을 통해 사업 전개와 기술 개발, 부품 조달, 정보 교류 등에서 시너지효과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삼성경제연구소 복득규 수석연구원은 “한국이 중국의 추격, 임금상승, 기업의 해외 유출 등에 대처하려면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기업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개별기업 차원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신사업을 시도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소는 유형별 클러스터 유망지로 △대학·연구소 주도형=대덕·포항·광주(光산업), 수도권(바이오·소프트웨어) △대기업 주도형=기흥·이천(반도체), 울산·군산·아산(자동차), 울산·거제도(조선) △지역특화형=충무로·강남(영화), 부천(문화) 등을 꼽았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