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정보통신, 국가전자무역 신경영전략 발표

 한국무역정보통신(대표 신동오)이 전자무역 확산과 심화를 위한 ‘신경영전략(Contingency Plan)’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전략은 그 동안 국내 전자무역을 주도해온 한국무역정보통신의 역할을 견주어 볼 때 향후 정부의 전자무역 구도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란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28일 한국무역협회에 보고된 신경영전략은 무역·통관 분야 EDI접속권자로서의 역할과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맞는 전자무역의 추진계획 등이 골자다. 이 전략은 무역협회 산하 전자무역추진위원회가 마련한 ‘중장기 전자무역추진전략’과 보조를 같이하며 산업자원부 등 관련기관들의 정책수행과정에도 직간접적인 반영이 예상된다.

 신경영전략에서 한국무역정보통신은 지난 92년 ‘무역자동화촉진을 위한 법률’에 따라 누려왔던 10년간 EDI중개사업자로서의 지위는 자체 마케팅 능력이 아닌 국가 주도형 상품이었다고 규정하고 기존 시장의 수성과 더불어 새로운 수익기반 창출을 핵심 실천과제로 선정했다.

 이에따라 기존 무역자동화사업분야에서는 핵심역량인 무역·통관·물류EDI의 인터넷화와 고객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시장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무역분야에서는 인터넷기반의 ‘eXedi’ 서비스를 재구성해 중소무역업체에 제공키로 했다. 통관분야에서는 관세사를 위한 통관인터넷전용시스템인 ‘e CustomsFrame’을 연내 구축하고 ‘e Logisframe’으로 인터넷에서 수출입 화물관리 및 추적 지원이 가능한 물류인프라도 마련한다는 것이다.

 또 공공사업으로 전자무역 관련 주요 e비즈니스 프로젝트(산자부 물류 B2B 및 전자민원시스템 구축, 관세청 사이버세관·웹기반 사용자 통합, 건교부 통합물류정보시스템 등)에도 참여해 인프라와의 연계·통합을 추진키로 했다.

 신규사업으로는 기업의 e비즈니스와 전자무역 인프라 연계를 위해 통관·물류·결제 업무처리가 가능한 전자무역 통합 솔루션 개발과 보급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의 해외법인 연동, 현대자동차와 포스코 등의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및 협력망 구축사업 등이 그 대상이다.

 이밖에 내부 인프라 지원부문에서는 기존 사용자들의 변화를 최소화(VAN EDI 유지)하면서 중소기업 참여 확대를 위한 인터넷 방식의 ‘GXML허브’ 시스템 구축을 연내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재해나 장애로 인한 EDI서비스 중단방지를 위해 백업센터 설립도 약 50억원을 들여 추진된다.

 <명승욱기자 swmay@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