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가전 환경규제와 우리의 대응

 한국 가전이 세계 일류 도약을 위해 애쓰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환경규제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이 지난 7월부터 신냉매 사용 에어컨만 수입을 허용하는 등 차츰 환경규제를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조치로 국내업체들은 10% 이상 가격 상승요인이 발생해 채산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이런 환경규제가 다른 품목으로 확대된다면 앞으로 국내업체들은 가전 제품의 생산단계에서부터 환경오염 배출을 근원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른바 ‘청정생산’ 시스템을 구축해야 무역장벽을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업체들은 이같은 환경규제로 인한 10% 이상 가격상승요인에다 신냉매를 공급하는 듀폰·하니웰 등이 지난달부터 신냉매 공급가격을 20∼30%씩 올리는 바람에 경영부담이 더해지고 있다. 여기에 EU가 오는 2004년부터 히터 겸용 쿨러에 대해서도 신냉매 사용 의무화를 예고하고 있어 국내업체들의 고민은 늘어나고 있다.

 국내업체들은 생산 공정라인 합리화와 친환경 생산라인 마련 등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제조원가에 부담을 줄 것이 뻔해 속을 끓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 EU의 에어컨에 대한 신냉매 사용 의무화 실시를 계기로 환경가전 개발과 이에 따른 원가절감 노력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만약 이같은 노력을 게을리할 경우 한국 가전제품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환경규제는 이미 지난 90년대초부터 EU가 에어컨에 대한 신냉매 적용 규제를 시작으로 환경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를 해 오고 있다. 미국이 EU의 조치에 반발하고 있지만 대세를 바꾸기가 어렵다. 갈수록 오염되는 지구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환경규제가 불가피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이미 선발 전자업체들은 환경규제 대응시스템 구축에 나서 설계단순화를 통한 친환경 제품개발을 유도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 샤프의 경우 제품 전과정에 관한 환경정보를 DB화해 환경부하저감 순환형 제품개발 시스템을 개발했고 미쓰비시도 친환경 제품설계 툴을 만들었다고 한다. 필립스는 제품생산시 환경영향 최소화, 제품 재활용성 등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제품의 친환경화를 추진하고 있다니 국내 기업들도 분발해야 할 것이다.

 우리도 지난 2000년 6월 국내 최초로 정부와 생산자가 스스로 회수, 재활용하는 이른바 ‘생산자재활용제(EPR)’를 도입해 폐전자제품의 전국적인 공동 회수, 재활용 체제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선진국의 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자산업환경협의회를 구성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가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규제를 근본적으로 극복하려면 환경친화적 제품의 개발과 생산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업체들은 필립스, 그룬디히, 브란트 등 유럽 5개 TV메이커가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신소재를 이용한 이른바 ‘녹색TV 개발사례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 국내업체들이 규제범위를 벗어난 녹색가전을 이들보다 앞서 개발할 경우 오히려 세계시장에서 확실한 우위를 확보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국내업체들은 경영에 부담이 되더라도 친환경 사업장 구축으로 그린경영을 실천해야 한다. 미래는 준비하는 자의 것이라고 한다. 갈수록 높아지는 무역장벽을 극복하려면 미래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