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넷의 역사’편에서 언급했듯이 IEEE802.3 위원회는 ‘10BASE-5/10BASE-2/1BASE-5/10BROAD-36/10BASE-T/10BASE-F/100BASE-TX’ 등의 다양한 규격을 표준으로 승인했는데요. 각 표준규격은 ‘전송속도-전송방식-세그먼트의 길이 또는 전송매체의 유형’ 등을 기본원칙으로 하여 이름붙여졌습니다. 예를 들면 10Mbps에 베이스밴드를 매체로 사용하며 전송길이가 500m인 경우는 10BASE-5가 되고 전화회선(twisted pair)을 전송매체로 사용하는 네트워크라면 10BASE-T가 됩니다.
이러한 표준규격 중 몇가지 대표적인 규격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0BASE-5’는 최초의 802.3 표준으로 앞서 설명했듯이 10Mbps의 전송속도에 베이스밴드의 동축케이블을 전송매체로 하고 한 세그먼트당 길이는 500m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 확장 시에는 최대 4개까지의 중계기를 사용할 수 있어 최대 2.5㎞까지 확장할 수 있습니다.
‘10BASE-2’는 10BASE-5와 같은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베이스밴드 신호전송방식을 사용하며 10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합니다. 이 규격은 가격이 싸고 전송 품질이 떨어지는 ‘RG58AU’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 세그먼트의 최대 길이는 185m로 짧습니다. 하지만 이 규격은 외부에 별도로 연결되는 트랜시버케이블을 없애고 트랜시버를 내장시킴으로써 설치 비용을 절약하고 설치하기도 편리하게 설계되었습니다.
<정혜원(hwjung@pcBee.co.kr) 자료제공:피씨비(http://www.pcbee.co.kr)>
많이 본 뉴스
-
1
이재명 “AI 투자 위한 추경 편성하자…민주당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
-
2
美 필리델피아서 의료수송기 번화가 추락...사상자 다수
-
3
“너무 거절했나”... 알박기 실패한 中 할아버지의 후회
-
4
수출 16개월 만에 꺾였다…조업일 감소로 1월 10.3%↓
-
5
SK온, 3사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 도약”
-
6
유출된 아이폰17 에어 후면 패널 보니… “카메라홀은 하나”
-
7
오픈AI, 추론 소형 모델 'o3 미니' 출시… AI 경쟁 가열
-
8
화성시, 19.8MW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돌입
-
9
광주시, 2025 동계 대학생 일자리 사업 성공적 종료
-
10
올가을 출시 아이폰17… '루머의 루머의 루머'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