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 2005](3)시스템통합(SI), 변해야 한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올해 SI시장 전망

국내 시스템통합(SI)시장은 외국계 컨설팅기업의 시장 침투와 HW·SW업체의 사업확장 등으로 인해 치열한 경쟁 국면을 맞고 있다. 이러한 경쟁상황 속에서 국내 SI산업은 새로운 돌파를 찾지 못하고 있다. 낙후된 시장구조로 인해 기술축적을 통한 경쟁력 확보는커녕 오히려 약화되고 있는 추세다. ‘변해야 산다’는 명제가 절실한 시점이다. 편집자 

 국내에서 발주되는 대규모 SI프로젝트는 대부문 대형 SI업체 수중에 들어간다. 소규모 SI업체들은 대규모 업체가 수주한 프로젝트를 다시 수주받아 영역별로 분담 처리한다. 건설업의 경우와 유사하다.

 하청받은 영역별 전문 SI업체는 전문 기술인력보다는 단순 전산인력을 보유한 곳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단순개발이나 코딩작업을 수행하기에 급급하다. 국내 SI시장의 기형적 구조는 여기서 생겨난다.

 국내 SI업계는 크게 2가지 질골에 빠져있다. 공공 및 민간부문에서 발주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거의 독점 수주해온 대형 SI업체는 체계적인 지식과 노하우의 축적이 어렵고, 소규모 SI업체들은 낮은 수익성에 시달리고 있다. 이른바 고급인력 확보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투자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악순환 궤도를 갖고 있다.

 대형 SI기업이 대부분 재벌그룹 계열사 구도라는 점도 문제다. 대형 SI업체는 계열 기업의 프로젝트를 암암리에 선점하고 있다. 소위 ‘선점시장(captive market)’ 구조다. 이런 구조 또한 업계의 역량 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이와 함께 최근 경기 악화도 SI기업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선점시장을 갖고 있는 대형 SI기업조차도 고정발주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이러다 보니 대형 SI업체는 그룹 내부 프로젝트를 독식하고 외부의 소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동분서주하는 현상도 벌어진다. 이 과정에서 경쟁은 심화되고 덤핑 입찰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된다. 그 여파는 당연히 소규모 SI업체의 몫으로 전이된다. 소형 SI업체들의 보이지 않는 불황은 바로 이러한 기형적인 SI시장구조의 모습에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SI시장구조 개편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기본은 적정가격을 보장받자는 움직임이다. 업계는 우선 프로젝트 수주업체 선정과정에서 가격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저입찰제 대신 그곳에 서비스품질 중심의 평가와 가격에 대한 적절한 합의도출을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물론 이 과정에서 기존 하향식 하도급 시스템은 소규모 영역별 전문 SI업체의 수익성 확보와 기술력 축적을 촉진할 수 있는 합리적인 파트너 관계로 변해야 한다.

 국내 대형 SI업체의 전문성과 차별성도 필요하다. 외국 대형기업에 맞서기 위한 유연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대형 SI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를 토대로 해외 SI시장 공략에 나서야만 소규모 영세업체들도 공존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역할에 맞도록 업무를 분담하고 핵심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대형 업체들은 특히 프로젝트 기획관리, 마케팅 역량과 컨설팅 역량의 전문성 확보에 주력하고 기타 개발, 유지보수, 특정 솔루션 전문역량은 외부의 아웃소싱이나 전략적 제휴를 통해 해결하는 상호 공존적 파트너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 이 방법만으로 대형 및 소형 전문 SI업체가 상호 윈윈할 수 있다.

 이러한 전문성과 특화영역 확보는 왜 필요한 것일까.

 SI업종은 크게 SI와 시스템관리(SM)로 나뉜다. SI는 다시 △컨설팅 △소프트웨어 개발형 SI △패키지 통합형 SI △소프트웨어 개발 △네트워크 통합 △하드웨어 설치 및 지원 △DB 구축 △기타 SI 등 8개 항목으로 세분화된다. SM은 △IT 아웃소싱 △프로세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 △네트워크 관리 △데이터센터 관리 △기타 SM △IT 교육훈련 △기타 컴퓨터 관련 서비스 등 8개 항목으로 나눠진다.

 먼저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IT 컨설팅 영역을 살펴보자.

 외국계 업체들은 SI사업에 전세계적인 정보 네트워크와 다른 국가, 다른 지역에서 축적된 경험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들은 당연하게 오랜 경험으로 구체화된 체계적인 방법론과 도구들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 업체들은 체계적인 방법론이 부족하다. 또한 방법론을 연구하거나 이에 필요한 자금력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브랜드 파워도 전무하다. 업계간 전문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기 위한 컨소시엄 구성이 요구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도 세계적인 브랜드의 국산 제품과 솔루션이 없다. 자체 기술력은 전무하고 응용기술력만을 갖고 있다. 국내 SI인력 상당 부분이 이러한 제품과 솔루션 구축이나 운용기술, 유지·보수에 편중되어 있다. 인과응보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은 별로 없다.

 그간의 응용기술 축적을 바탕으로 차세대 e비즈니스 신기술을 접목한 패키지 솔루션을 개발해야만 한다. 성숙된 시장보다는 틈새 영역이나 미래 선도 기술 영역에서 그 대상을 찾는 자세가 필요하다.

 SM분야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아웃소싱의 경우, 도입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아직 시장조차 성숙되지 않았다. 아웃소싱이 확대되지 못한 이유는 기업의 인식부족, 법제도적 기반 미흡, 서비스의 신뢰도 미성숙 등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한다. 아웃소싱 관련 SI업체들이 갖고 있는 시스템 측면의 운영·관리 기술력은 이미 성숙됐다고 볼 수 있으나, 아웃소싱 프로세스 측면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 도출 능력, 아웃소싱 도입 타당성이나 효과분석과 관련된 컨설팅 능력, 성과측정 및 관리체계, 기타 아웃소싱 인증 및 감리체계 등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 인식은 정부나 기업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도 SI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해 ‘SI산업 활성화 방안’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정부가 추진중인 계획은 SI업체에 대한 세제지원 강화, 정부 SI 조달체계 개선, 공정한 경쟁기반 조성, SI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 조성 등 굵직한 현안 문제들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SI산업을 수출 주력꾼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러한 지원제도는 SI산업 육성과 활성화를 위해 매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내부에는 본연의 취지와는 달리 또다른 문제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와 일부 SI업체들의 반발 등 부정적인 요인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정부가 차세대 수출 주력산업으로 SI산업을 인식했다는 변화조짐이다. 현실적인 접근방법과 대책은 산·학·연·관이 얼굴을 맞대고 짜내야 한다.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