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일부 언론의 ‘위기론’ 제기로 국내 B2B업계가 초상집 신세다.
e마켓플레이스로 대변되는 B2B업체들이 수익은커녕 거래 자체도 없고 비즈니스 모델도 당초 기업간 EC를 대행하는 그림에서 B2B 인프라를 구축하는 솔루션 제공업체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분위기에 편승, B2B 및 솔루션업계, B2B를 투자대상으로 선정한 벤처캐피털업계까지 술렁이고 있다. B2B업계로서는 거래부진이란 ‘뇌관’이 터진 꼴이 됐고 솔루션업계는 향후 수주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염려하고 있다. 벤처캐피털 역시 투자대상이던 B2B업체들의 평가제고에 들어갔다.
사실 B2B에 대한 회의적 시각은 태생지인 미국에서 이미 나왔다. 자금과 기술에서 앞선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며 그 수도 현재의 3000여개에서 200여개로 무려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B2B가 아픔을 통해 성숙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는 이번 국내에서 제기된 위기론이 미국의 그것처럼 e마켓 수익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지적, 프라이빗·퍼블릭마켓의 비교 분석을 통한 향후 오프라인 기업과 e마켓들의 방향성 제시와는 달리 단지 국내 e마켓들이 거래가 않돼 ‘아사직전’이라는 단순논리에 있다는 점이다.
지난 90년 초 우리보다 10년 정도 빨리 시작된 미국의 B2B는 국방부 구매조달체계 개선 프로젝트(CALS)를 거쳐 대기업들이 거래처에 온라인 거래를 의무화시키며 지금의 모습으로 진화해왔다. 그러면서도 아직까지 수익모델에 대한 회의와 대안을 논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적 논쟁을 통해 오는 2003년 전체 미국의 기업거래 중 42%를 차지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물론 정확한 대안모색을 위해선 냉정한 현실진단이 필요하다. 하지만 비자금 관행, 무자료 거래에 따른 세금원 노출기피, 표준화 열악 등 뿌리깊은 우리나라의 경쟁력 약화요인을 감안한다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편향적인 ‘B2B 위기부각’보다는 오히려 오프라인 기업의 ‘참여촉구’가 필요한 때다. 왜냐하면 B2B는 격변하는 디지털경제 속을 스쳐 지나가는 소나기가 아니라 기업,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디지털경제부·명승욱기자 swmay@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中 반도체 설비 투자, 내년 꺾인다…韓 소부장도 영향권”
-
2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3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4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5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6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7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8
美 캘리포니아 등 6개주, 내년부터 '전기차 판매 의무화'
-
9
상장폐지 회피 차단…한계기업 조기 퇴출
-
10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