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로라하는 전세계의 인터넷 전문가들이 한국으로 몰려 들었다.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나흘간 일정으로 서울 잠실 호텔롯데월드에서 열리는 ‘IPv6 서미트 코리아’ 때문이다. IPv6는 지난해 3월 IPv6포럼코리아가 결성되면서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아직도 일반인에게는 낯선 용어다. 인터넷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조차도 차세대 인터넷 정도로 이해하고 있을 정도다.
IPv6는 한마디로 고갈 위기에 있는 인터넷 주소(IP)를 무한정 할당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인터넷이 마치 TV나 영화·이동전화처럼 일상 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잡으면 IP자원의 수요는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터넷이 시작된 60년대말부터 40여년 동안 사용돼온 인터넷 주소 체계 IPv4로는 이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IPv6가 의미를 갖는 것도 여기에 연유한다.
이보다 더욱 중요한 이유는 IPv6가 차세대 인터넷을 위한 기반 기술이자 우리나라가 ‘인터넷 생산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사실 우리나라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인정할 정도로 인터넷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인터넷 보급률이나 사용 인구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인터넷 비즈니스 열기 역시 둘째가라면 서러워 할 정도로 뜨겁기만 하다. 인터넷을 모르는 넷맹조차도 인터넷과 e비즈니스가 우리 경제를 이끄는 차세대 견인차라는 명제에는 별 다른 반론을 달지 않는다.
그러나 막상 주위를 둘러보면 왜 인터넷이 우리 경제의 경쟁력이 되어야 하는지 속시원한 대답을 찾기가 힘들다. 이는 아직도 우리나라가 인터넷 ‘생산국’이기보다는 ‘소비국’이라는 방증이다. 뒤집어 이야기하면 인터넷을 실생활에 접목한 비즈니스 모델은 무수히 많지만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 기술이 취약하다는 얘기다.
IPv6는 차세대 인터넷을 위한 떠오르는 기반 기술이다. 인터넷 생산국으로 가기 위한 첫걸음은 누가 앞서서 이같은 기반 기술을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미 미국·유럽·일본 심지어 중국까지 차세대 인터넷 ‘레이스’에 앞다퉈 뛰어드는 상황이다.
차세대 인터넷 역시 기술이 기반이 돼야 하는 분야다. 지금껏 IT기술은 선진 외국이 주도해 왔다. IPv6를 비롯한 차세대 인터넷 기술은 인터넷 주도권 확보에서 두 번 다시 올 수 없는 기회다. 이번 서미트 코리아를 계기로 정부뿐 아니라 학계와 산업계에서도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IPv6 육성에 나서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터넷부·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2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3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4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5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6
인텔, 美 반도체 보조금 78.6억달러 확정
-
7
갤럭시S25 울트라, 제품 영상 유출?… “어떻게 생겼나”
-
8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
9
삼성전자 사장 승진자는 누구?
-
10
美 캘리포니아 등 6개주, 내년부터 '전기차 판매 의무화'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