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통, 유무선 서비스 통합 의미

 한통이 유무선 통합서비스를 대대적으로 준비하고 나서는 데는 여러가지 의미가 내포돼 있다.

 한통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기술진화가 일어나면서 영역간 경계가 불투명해지고 네트워크 독점적 수익마저 크게 저하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기술발전에 따라 유무선 기술, 서비스 영역의 구분이 무너지는 상황에서 유선만의 영역을 고집하다가는 ‘공룡’처럼 괴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통신기술의 진화에 따라 새로운 대안기술과 경쟁사업자가 속속 등장하는 현실을 감안해 유무선 종합통신사업자로서의 위상을 다져 지속적인 기업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것이 한통의 ‘유무선 통합작업’ 배경이다.

 ◇유무선 통합에 따른 체질개선=한통은 유선전화시장의 매출이 매년 감소하고 무선시장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어 그룹내 체질개선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유선 매출에 의존하다가는 자칫 SK텔레콤등 경쟁사업자에게 뒤처질 수 있으며 나아가 글로벌 환경에 대응하지 못해 국제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도 여기서 나온다.

 이에 따라 한통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카드는 ‘유무선 통합’이다. 유무선을 연계해 수익증대를 꾀하며 우리나라 시장에서의 독점적 권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통 본체, 프리텔 등 자회사들이 보유한 유무선 지능형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 국내 통신시장에서의 기득권 유지가 가능하다. 물론 수익성도 크게 개선돼 민영화에 따른 기업의 위상제고가 이뤄진다.

 어떻게 가능할까. 전세계적으로 초유의 초고속인터넷 시장을 개화시킨 한통의 초고속인터넷서비스 능력과 1000만명을 육박하는 한통프리텔·엠닷컴의 이동전화가입자 규모 때문에 가능하다. 여기에 다양한 인터넷콘텐츠, 전용회선, 마케팅 능력이 결부될 경우 전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유무선 통합사업자로 성장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경쟁사업자 견제=유무선 통합작업이 이뤄지면 한통은 SK텔레콤, 제3의 통신사업자가 등장하더라도 충분한 승산이 있다. 해외 글로벌 사업자와도 경쟁할 만한 수준이 된다. 나아가 지능망 확산과 유선에서 무선, 전화에서 인터넷 등으로의 기술진화가 이뤄지더라도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는 계산도 나온다.

 최근 통신시장에서 이동전화서비스가 무선서비스 시장을 잠식해 들어온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한통 내부에는 무선인터넷, 무선 e메일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칫 엄청난 경비를 들여 구축된 기존 유선망을 이동전화사업자에게 잠식당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다.

 이동전화사업자들이 유선부문을 잠식해 들어가는 상황을 한통의 입장으로서는 그대로 두고 볼 수만은 없는 일이다. 한통의 계획 속에는 이동전화의 잠식을 유선과 무선을 연계한 서비스로 대응, 견제하겠다는 논리가 숨어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와 자회사 모두 ‘윈윈’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무선사업자의 반발 우려=한통은 자사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을 통합해 기존 유무선서비스보다 저렴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기존 통신사업자의 반발이 예상된다. KT의 경쟁력 강화가 다른 통신사업자에게는 경쟁력 약화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선사업자가 무선랜, 블루투스, 복합휴대폰서비스 등을 갖고 나올 경우 영역침해라는 무선사업자의 논리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서비스가 확산될 경우 SK텔레콤 등은 매출감소로 직결되며 기존 영세 사업자들의 경영악화가 이어질 수도 있다.

 이에 반해 KT는 유무선통합은 통신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산업계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정보통신 산업육성’ 논리를 내세운다. 유무선통합이 정보통신 기술진화의 대세이며 이러한 점을 역행할 경우 국내 통신사업의 침체기가 도래할 수 있다는 ‘협박성’ 논리도 가세된다.

 KT는 여기에 기존 망에서 약간의 기술만 가미하면 저렴하게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대국민 서비스론’을 결부시켜 유무선통합을 마무리한다는 전략을 세워두고 있다.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