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PP 해외 프로그램 비중 커져

신규 프로그램공급업자(PP)들이 외국 프로그램 중심의 채널 편성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외국 프로그램에 의한 방송 의존도가 크게 심화될 전망이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PP 등록을 마쳤거나 채널 등록을 준비중인 다수 사업자들은 최근 사업계획을 구체화하면서 자체 제작 프로그램보다는 외국 프로그램 위주로 채널 편성을 준비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외국 방송프로그램의 판권료가 폭등하고 있으며 PP 활성화를 통한 외주제작을 기대했던 독립 프로덕션들이 일감을 찾지 못한 채 개점휴업인 상태에 있는 등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어 관계당국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같은 신규PP들의 움직임은 저렴한 비용으로 단시일내 총 방영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데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신규PP의 한 관계자는 “완성도 높은 외국 프로그램을 수입하지 않고 독립 프로덕션을 통해 국내에서 그 프로그램과 유사한 작품을 만들경우 편당(20분 기준) 1000만원 정도가 소요되나 외국 프로그램을 그대로 수입, 방영할 경우 비용은 자체 제작비의 10% 정도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방송법상 PP들의 경우 전체 프로그램 중 50%를 외국 프로그램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방송계는 PP들의 외국 프로그램 편성비율은 그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방송계의 한 관계자는 “일부 사업자들의 경우 외국 다큐멘터리 및 정보 프로그램 등을 구입한 후 방송 중간에 국내 비디오자키의 해설 등을 삽입해 마치 국내 프로그램인 양 방영하고 있다”고 사례들을 지적했다.

 신규 채널을 준비중인 업체의 한 관계자는 “동일한 장르의 채널을 준비중인 업체와 경쟁을 벌인 결과 2∼3개월 사이에 판권비가 25% 가량 상승했다”며 “외국 방송프로그램 공급자들이 한국업체들의 이같은 움직임을 알고 가격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신규 PP들이 초기 시청률만 의식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들여 시선을 끌만한 외국 프로그램에만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무분별한 수입 움직임으로 저질 프로그램이 양산될까 우려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방송위는 이에 따라 최근 연중 1∼2회 실사를 통해 지나친 외국 프로그램의 편성을 단속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위 심의평가실 김용석 차장은 “현행 법률에는 편법으로 외국 프로그램의 편성을 늘리는 사례에 대한 세부적인 단속기준이 없는 상황”이라며 “신규PP들이 사업계획서상 명시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 편성계획을 얼마만큼 실행하고 있는지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억기자 be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