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지분」매각 차질 빚나

정부보유 한국통신(KT) 지분 14.7% 국내 매각과 관련, 삼성·LG·SK·롯데·포철 등 대기업들이 불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KT의 민영화 방향 및 통신시장 구조개편이 주목을 끌고 있다.

삼성 등 5대 재벌은 안병엽 정보통신부 장관은 물론이고 기획예산처 장관까지 이들의 입찰참여 유도를 위해 「정부는 특정기업의 KT 경영권 장악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묘한 뉘앙스의 발언까지 했을 정도로 공들였던 대상이다.

◇입찰 결과에 대한 영향 ● 정부와 KT는 함구로 일관하고 있지만 주변 관계자들은 대기업들의 불참으로 이번 지분매각 계획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정통부나 KT 모두 입찰 실시 이전부터 대기업들이 입찰에 참여한다면 비록 5% 한도가 있지만 대규모의 지분청약을 했을 것이고 이는 곧바로 기관투자가들의 투자에도 영향을 미쳐 전체적으로 성공적 매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대기업들의 불참이 전해지면서 정부나 KT 관계자들은 크게 낙담하는 듯한 분위기다.

일부에서는 접수마감 시간에 임박, 기관투자가들이 대거 몰린 점에 기대하고 있지만 대기업 투자자들이 불참함에 따라 낙찰률은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KT 민영화 향배는 ● 이번 지분매각 낙찰률이 당초 기대에 못미치게 된다면 이는 정부나 KT·통신시장 모두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동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현 경제 상황에서 KT 물량을 소화해줄 주체가 없다는 것은 1차적으로 KT 민영화에 영향을 미친다.

관계자들은 『하반기 이후 다시 재매각 절차를 밟는다 하더라도 대량구매가 가능한 대기업 투자자들이 나서지 않는 한 어려움은 상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지분매각과 병행해 추진하고 있는 전략적 제휴에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또한 만약 국내 지분매각이 실패한다면 민영화를 기준으로 모든 경영계획을 마련 중인 KT 자체에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소유구조를 전향적으로 검토할 경우 한국통신은 노사관계 등에 묶여 당분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있다.

◇통신시장 구조조정에도 영향 ● KT 국내 지분매각이 실패하게 된다면 연이어 국내 통신시장 전체의 구조조정에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정부는 IMF 이후 공기업인 KT와 인수합병(M&A)을 통한 2개의 대형 민간통신사업자 구도를 경쟁 활성화의 최적 구도로 인식해왔다.

SK텔레콤을 중심으로 한 이런 구도는 정착됐으나 또 다른 축인 KT 구도가 안개 속에 갇힌다면 당연히 남아 있는 또 다른 한 축의 성립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SK텔레콤 이상의 잠재가치를 가진 KT에도 관심이 없는데 또 다른 한 축을 형성하기 위해 대기업 투자자들이 M&A를 중심으로 막대한 투자에 나선다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곧바로 정통부의 최대 현안인 동기식 IMT2000사업자 선정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한국전력 자회사인 파워콤의 민영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예측되며 하나로통신·LG텔레콤 등 통신시장의 중심에서 한 발 빗겨선 또 다른 통신사업자들의 합종연횡에도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조시룡기자 srch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