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IMT2000>37회/끝-상용서비스 일정:서비스사업자

2002년 5월, 월드컵을 앞두고 국내에서 IMT2000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는가.

동기식 장비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서비스 시점 「연기론」에 대해 사업자는 「허튼소리」로 치부한다. IMT2000서비스는 장비제조업체 역할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로밍이라는 영업적인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빠른 서비스 시행이 사업성패의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예비주자들은 이 때문에 서비스 시점인 2002월 5월까지 「문제없다」고 주장한다. 기술표준, 그룹내 입장, 서비스 내용 등에 대해 다소 견해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서비스 시기 연기에 대해서는 한결같이 불가능한 일로 여기는 눈치다.

◇한국통신=한국통신은 비동기 방식의 사업권 획득을 전제로 서비스 시점을 산정한다. 비동기식으로 사업권을 따더라도 2002년 5월까지 시범서비스는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서비스 연기론에 대해서도 단호한 편.

한국통신은 비동기 사업권을 획득한 이후 정부가 인위적으로 서비스 시점을 연기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사업자 선정이후 장비조달 구매계획을 내면 장비제조업체가 장비조달 입찰을 할 것이고 이에따라 적정업체를 선정, 장비를 구매한 후 서비스를 실시하면 된다는 논리다.

한국통신은 비동기식 서비스를 실시하더라도 사업자가 조달 불가능한 장비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정된 기간내에 장비개발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비동기식 장비공급 지연 전망」이나 「국내 업체의 장비개발 시점까지 서비스 시점을 늦춰 달라」는 주장에 대해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한다. 이 경우 시장진입을 놓쳐 자칫 국내 통신사업자, 제조업체의 경쟁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천만한 발상이라고 반박한다.

사업자가 주파수를 할당받은 후 서비스 시기를 일정기간 유예하더라도 유한자원인 주파수 효용가치 측면에서도 큰 손해라는 것이 한국통신의 기본 생각이다.

◇SK텔레콤=SK텔레콤은 역시 당초 예정했던 대로 2002년 5월에 맞춰 서비스를 개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일부에서는 단말기 모뎀칩 개발 등을 이유로 2002년 5월에 맞춰 상용화가 어렵다고 주장하나 현재의 비동기식 장비 개발속도로 볼 때 2002년 5월 상용화 서비스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SK는 장비 국산화가 늦어져 국산 장비 사용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서비스 개시 시점도 신축적이고 탄력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생각은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기술표준에서 동기식 채택 압력을 피하기 위한 전술의 일환.

SK는 2002년 5월을 놓칠 경우 시장진입 실패에 대한 위험부담이 크다고 보고 있다. 가능하면 예정된 시각에 서비스에 임하겠다는 것이 기본 전략이다.

SK는 통신사업 특성상 조기에 사업을 전개,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키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이럴 때만이 2세대에서 3세대로의 연계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SK는 잠재적 성장가능성이 높은 IMT2000 해외시장 조기 선점을 위해서도 상용서비스의 조기 개시가 필요하다는 논리다.

SK는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는 만큼 2002년 상용화 개시 시점까지 충분히 비동기식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LG그룹=LG는 IMT2000 시장 조기 진출, 이용자 편익 증진, 관련 기술확보를 위해 2002년 5월에 IMT2000서비스가 상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LG는 지난 97년부터 동기·비동기 방식 IMT2000시스템 개발에 들어가 지난 7월에는 IMT2000 핵심망 상용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이같은 추세라면 2001년 하반기까지 단말기 상용화 및 시스템 개발을 완료, 2002년 5월 IMT2000 상용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는 IMT2000이 한번 뒤지면 따라잡기가 어려운 통신산업 특성을 고려해 상용화 시점이 늦춰져서는 안된다는 견해다. 특히 단말기 및 시스템의 국산화율이나 표준방식 등의 문제로 상용화 시점이 늦춰지는 것은 국내 IMT2000서비스의 경쟁력 약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한다. 또 국익 차원에서도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리다.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