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부품.소재산업 르네상스를 위하여>10회-전자산업 표준화 상화 방안

우선은 시장이 인정하는 사실상의 표준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사실상의 표준은 곧 경제적 원리와 직결되며 원천기술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근간이 된다.

사실상 표준화 분야에서 정부와 업계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효율적 지원방안을 수립하고 사실상 표준의 적극적 발굴 및 정보의 공유를 통해 국제 표준화에 대응하는 게 절실하다.

공적 표준의 경우에는 정부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국제회의 참가 자체가 만만치 않은 중소업체들을 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게

업체 관계자들의 목소리다.

또한 제품개발과 동시에 기술표준도 살펴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요즈음 한창 바람이 불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의 경우도 먼저 업체에서 개발에 나선 연후에야 표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있다.

정부는 정부대로, 협회는 협회대로 부산을 떨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블루투스 상용화를 위해 전자통신연구원(ETRI) 및 관련업계가 참여하는 전담팀을 이달중으로 구성, 국내외 기술개발 및 시장현황을 파악하며 다음달말까지는 상용화에 필요한 인증절차를 확립하고 기술기준 등을 제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전파진흥협회 산하 블루투스산업협의회도 올초 개발분과·서비스연구분과·인증시험분과·규격분과 등 위원회를 구성하고 세부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전문인력의 확보도 필요하다. 전문인력은 기술 엔지니어의 양성은 물론 국제포럼 개최 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고급인력도 포함된다.

산업기술대학내 산업표준인력양성 교육과정 신설로 전문인력을 키우고 전자분야 및 외국어에 능통한 기술 외교관 등의 인력양성이 있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김인구기자 cl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