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단말기 제조업계가 격변기를 맞고 있다.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현상이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사업자 선정작업과 맞물리면서 무선 인터넷기능을 구현할 이동전화단말기 및 시스템 개발여부가 통신장비산업의 성패를 결정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동전화단말기 제조업계는 2.5 및 3세대 이동통신 장비개발에 혈안이 되고 있다. 3회에 걸쳐 변화의 급류를 진단해 본다. 편집자
지난 6월 이동전화단말기 제조업계에 단말기 보조금 폐지라는 원폭이 투하됐다. 단말기 보조금 폐지는 극심한 내수위축으로 이어져 6월 20만여대, 7월 24만여대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월 평균 60만대 이상, 90만대를 넘나들던 5월까지의 실적과는 천양지차를 보였다.
관련업계에서는 할부제도와 같은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단말기 보조금 폐지로 인한 사용자들의 구매부담을 분산시켜 수요증대로 이어가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최근 정보통신부 및 전자산업진흥회 등으로부터 단말기 할부를 24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는지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말해 정부도 이동전화시장 침체현상의 장기화를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이동전화단말기 제조업계로서는 24개월 할부에 따른 금융부담, 투자비용 회수기간의 연장 등의 이유로 할부기간을 12개월 이상으로 늘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일부 관계자들은 『정부가 이동전화 가입비를 폐지하거나 단말기 보조금제도를 부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내수 부흥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정부로서는 단 3개월도 안돼 정책(단말기 보조금 폐지)을 뒤집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시장도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다. 우리나라 2세대 이동통신산업의 기반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방식을 받아들이는 국가의 숫자가 일천하기 때문이다.
국내업체들이 최후의 보루로 여기는 중국도 아직 CDMA 도입을 공식화하지 않아 상용화 및 시장활성화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견 이동전화단말기 제조업체들로서는 내수침체에 따른 대안으로 중국시장에 눈을 돌렸다가 속칭 「만만디」로 대변되는 중국산업계의 계약 지연전략에 혀를 내두르고 물러선 상태다. 오히려 중국은 동기식 이동통신보다는 비동기식을 받아들일 것이라
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국내업체들을 더욱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
이같은 2세대 이동전화단말기 내수 및 수출 수요침체가 관련업계의 변화를 종용하고 있다. 음성통화(2세대)의 옷을 벗고 데이터(2.5세대) 및 영상(3세대)통화를 구현할 단말기 개발을 서두를 때인 것이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
IT 많이 본 뉴스
-
1
쏠리드, 작년 세계 중계기 시장 점유율 15%…1위와 격차 좁혀
-
2
단통법, 10년만에 폐지…내년 6월부터 시행
-
3
“5G특화망 4.7GHz 단말 확대·이동성 제공 등 필요” 산업계 목소리
-
4
'서른살' 넥슨, 한국 대표 게임사 우뚝... 미래 30년 원동력 기른다
-
5
美 5G 가입건수 우상향…국내 장비사 수혜 기대
-
6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ICT분야 첫 조직 신설…'디지털융합촉진과'
-
7
[이슈플러스]블랙아웃 급한 불 껐지만…방송규제 개혁 '발등에 불'
-
8
KAIT, 통신자료 조회 일괄통지 시스템 구축 완료…보안체계 강화
-
9
SKT, SK컴즈 등 3개 계열사 삼구아이앤씨에 매각
-
10
티빙-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새해 3월 종료…“50% 할인 굿바이 이벤트”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