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명의 토론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위성방송 도입에 따른 정책방안 공청회」는 사업자 선정작업이 막바지에 달한 시점에서 이뤄지는 행사인 때문인지 참가자들의 열기가 뜨거웠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3개 컨소시엄 주도사와 MPP·PP·KBS 등 이해 당사자들이 나와 각자의 입장을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자리가 됐으며 사업자 선정을 위한 최종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MPP를 대표해 참석한 김주성 온미디어 전략기획팀 국장은 『위성방송사업의 핵심적인 요소는 콘텐츠의 공급능력이기 때문에 인력 및 노하우를 갖고 있는 MPP의 위성방송 참여는 꼭 필요하기 때문에 콘텐츠 분야에 제한적인 참여를 원한다』며 『전체적인 투자조합은 어려우나 역량있는 채널사용사업자 중심으로 합작법인을 구성해 채널패키징에 대한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소PP 대표로 참석한 김창희 센추리TV 기획부장은 『PP사업자들의 투자여력을 고려할 때 투자조합을 통한 위성방송사업참여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조합의 의사결정이 군소PP보다는 상대적으로 출자지분이 많은 MPP위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지상파방송의 위성방송 참여는 기존 콘텐츠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지분참여를 통한 경영권 확보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주언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단일 그랜드컨소시엄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지지하나 위원회의 정책적 지침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김 사무총장은 『시청자권익을 위한 위성방송사업자의 공적 의무조항이 중요할 뿐 아니라 퍼블릭액세스채널의 보장 및 운영방식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윤택 KBS 위성방송주간은 『KBS는 공적 가치의 보장을 위해 채널운영만이 아니라 데이터방송, 가입자 과금관리, 부가서비스, 지상파 디지털방송과 협력 등의 영역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며 『위성방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콘텐츠 제작과 수급, 방송운영의 노하우가 있는 지상파방송의 참여가 필수』라고 주장했다.
정광수 한국통신 위성방송사업추진단 협력기획부장은 『한국통신을 1대주주(지배주주)로 한 책임경영구도를 바라고 있다』며 『지상파방송은 콘텐츠의 원활한 공급과 공익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참여폭을 넓히되 대기업은 소액주주로서만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석암 DSM 프로그램개발팀장은 『DSM·한국통신·SKT·뉴스코퍼레이션·MPP의 5자 공동대주주 구도를 지향한다』며 『지상파방송은 기타 PP군과의 균형있는 참여를 위해 참여 폭을 제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성준 일진 위성방송사업단 기획팀장은 『일진을 1대주주(지배주주)로 하되, 중견기업이 핵심주주그룹을 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경영구조와 관련해서는 3사 모두 위원회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소유와 경영분리 원칙에 동의했으나, 구체적인 세부추진방안에 있어서는 각 사별로 입장차이를 보였다.
김정기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21세기 새밀레니엄을 맞아 방송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다』며 위성방송은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게 됨에 따라 공명정대하고 깨끗한 심사과정을 거쳐 사업자 선정작업을 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또 『사업자들이 단일 그랜드컨소시엄 협상에 참여, 다음주 중에는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며 공청회를 통해 최적의 단일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대인 부위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방송영상콘텐츠 공급기반 확충에 초점을 맞춰 신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및 독립프로덕션을 적극 육성할 것』이라며 『채널의 다양성 구현을 위한 채널 패키지의 구성과 케이블TV 등 기존매체와의 균형있는 발전을 추구하면서도 서비스의 차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모든 방송채널사용사업자를 비차별적으로 수용하고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채널 패키지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채널을 소개하는 것을 권장하고 위성방송사업자와 수직통합된 채널 운용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청회에는 수신기 제조업체를 대표한 토론자가 참여하지 않았으나 이들 업체는 그동안 기술조합을 통한 참여에 동의하나 출자 여부가 수신기 공급과 연계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특정업체의 초기시장 독점을 방지하기 위해 보편적인 수신기 기술규격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억기자 bekim@etnews.co.kr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모토로라 중저가폰 또 나온다…올해만 4종 출시
-
2
단독개인사업자 'CEO보험' 가입 못한다…생보사, 줄줄이 판매중지
-
3
역대급 흡입력 가진 블랙홀 발견됐다... “이론한계보다 40배 빨라”
-
4
LG유플러스, 홍범식 CEO 선임
-
5
내년 '생성형 AI 검색' 시대 열린다…네이버 'AI 브리핑' 포문
-
6
5년 전 업비트서 580억 암호화폐 탈취…경찰 “북한 해킹조직 소행”
-
7
반도체 장비 매출 1위 두고 ASML vs 어플라이드 격돌
-
8
페루 700년 전 어린이 76명 매장… “밭 비옥하게 하려고”
-
9
127큐비트 IBM 양자컴퓨터, 연세대서 국내 첫 가동
-
10
'슈퍼컴퓨터 톱500' 한국 보유수 기준 8위, 성능 10위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