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인터넷 가입자장비 기술규격 공개 논란

『줬다.』(펜타미디어) 『받은 적 없다.』(위성인터넷 가입자장비 공급업체 6개사)

한국통신 「매가패스 위성인터넷」 사업의 업링크시스템 및 가입자장비 공급업체로 선정된 회사들이 기술규격공개 여부를 둘러싸고 티격태격하고 있다.

아직 어느 쪽의 말이 정확한지는 가려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결국 한국통신이 나서서 교통정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 배경 = 올들어 한국통신은 초고속 인터넷사업의 브랜드를 「매가패스」로 통일하고 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ADSL)으로부터 위성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시장공략에 나섰다. 이 중 매가패스 위성인터넷은 국내는 물론 중국 연변을 단일 통신망으로 연결할 수 있는데다 속도가 빠르고 멀티다지점서비스가 가능해 전략상품으로 떠올랐다. 한국통신은 1기당 약 2만5000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위성인터넷 업링크시스템 2기를 구축, 관련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98년 자네트시스템(대표 고시연 http://www.garnets.com)이 한국통신에 구축한 프록시 방식의 위성인터넷 업링크시스템은 사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한국통신의 위성서비스인 「코넷」에 전화로 접속해야 하는 등 단점이 있었다. 즉 중국 연변의 위성인터넷 이용자는 한국으로 국제전화를 걸어 코넷에 접속해야 했고 코넷이 아닌 다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매월 코넷 접속료를 이중으로 부담해야 했다.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통신은 최근 펜타미디어(대표 김선기 http://www.pentamedia.co.kr)를 새로운 업링크시스템 공급업자로 선정, 기존 인터넷 사용자가 ISP를 변경하지 않고 곧바로 매가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 터널링기법을 활용한 업링크시스템(모델명 터널 인 더 스카이)의 구축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대유통신, 캐드콤, 자네트시스템, 텔리맨, 엠바이엔, 디지털앤디지털 등 매가패스 위성인터넷의 가입자장비 공급업체로 선정된 6개사는 펜타미디어로부터 「터널 인 더 스카이」의 시스템 접속용 프로토콜, 가입자장치 기술규격 등을 넘겨받아 위성 수신장비를 개발,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펜타미디어는 『이미 모든 기술규격을 제공했다』고 주장하고 6개사는 『그렇지 않다』고 반발하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 공방전 = 펜타미디어의 김선기 사장은 『국내 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내 위성통신장비업체들에게 기술을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공언했다.

그 세부적인 기술공개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펜타미디어의 조현성 연구개발팀장도 『이미 각 위성인터넷 가입자장비 공급업체들에게 터널 인 더 스카이의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제공했으며 가입자장비 관련 기술규격도 사용계약서에 사인만 하면 특허료없이 무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어느 업체도 아직 계약의사를 밝히지 않아 이해할 수 없다』고 조 팀장은 덧붙였다.

이와 달리 엠바이엔의 박종식 디지털사업부장은 『당초 지난 9일까지 계약서를 교환하고 12일까지 기술규격을 받기로 예정돼 있었으나 펜타미디어로부터 아무런 반응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통신이 다음달부터 매가패스 위성인터넷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기 때문에 하루빨리 펜타미디어의 가입자장비 관련 기술규격을 넘겨받아 제품개발 및 테스트를 완료해야 한다』며 펜타미디어의 기술규격 이전을 촉구했다.

대유통신의 이진규 사장도 『한국통신 매가패스 위성인터넷사업에 따른 원할한 장비공급을 위해 결성된 위성멀티미디어협의회를 통해 펜타미디어의 기술이전이 원만한 합의를 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기술이전이 이뤄지지 않는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중재가 필요하다 = 기술을 넘겨 준 사람은 있는데, 받은 사람이 없는 이상한 현상을 해결할 중재자는 당연히 사업주체인 한국통신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통신 위성사업단 기획운용팀의 관계자는 『업링크시스템 접속절차 및 프로토콜은 이미 공개된 것으로 안다. 하지만 가입자장비 기술규격과 장비개발 여부에 대해서는 권고는 하되 직접 개입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말해 특별한 중재역할을 기대할 수 없을 전망이다.

결국 위성인터넷 가입자장비 수요증대를 기대했던 관련업체들만 속을 태우게 됐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