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확산과 더불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인터넷업체 가운데 대다수는 이렇다 할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인터넷기업들이 으레 그렇듯이 처음에는 콘텐츠만 제공하다 수익을 위해 커뮤니티 사이트와 합종연횡하고 다음 단계로는 전자상거래에 진출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막강한 커뮤니티 사이트 또는 포털사이트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에 진출해도 몇가지 제약점 때문에 실익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국내서 형성되고 있는 전자상거래의 유형은 오프라인업체들이 온라인에 진출하는 형태와 순수 온라인업체들이 전자상거래에 진출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기존의 오프라인시장 외에 온라인시장을 추가로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창출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다소 모험이 따른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오프라인에 비해 소비자 마케팅도 쉽고 중간 유통비용도 줄여 가격경쟁력도 있을 법한데 왜 온라인유통은 모험이 따르는가.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오프라인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면서 온라인을 느긋하게 성장시켜도 되는 입장이지만 온라인업체들은 그렇지 못하다. 또 오프라인업체들은 대량구매로 구매단가를 최대한 낮출 수 있지만 아직까지 「매스 세일」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는 순수 온라인업체들은 구매단가에서부터 오프라인과 격차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
이같은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인터넷 쇼핑몰은 대형 오프라인업체를 쇼핑몰에 입점시키거나 오프라인업체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 재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출범한 TG랜드는 가전제품 전문 유통매장을 갖춘 전자랜드21과 컴퓨터 전문 유통망을 갖춘 삼보컴퓨터가 합작해 설립한 것으로 가전제품은 전자랜드21, 컴퓨터 관련제품은 삼보컴퓨터로부터 공급받는다는 점에서 기존 쇼핑몰과는 다소 다른 특징을 지닌다. 한곳은 가전제품 구매파워가 국내 제1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유통업체이고 또 하나는 제조업체기 때문이다.
사이버공간에서 이뤄지는 유통의 또 한가지 난제는 물류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수익을 내지 못하는 이유 중 한가지는 대부분 「주문건당 처리비용」이 오프라인업체들에 비해 비싸다는 점이다.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라도 순수 온라인업체들은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업체에 비해 처리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의류나 서적에 비해 덩치가 큰 가전제품은 물류에 대한 부담도 훨씬 크다.
삼성전자가 전자상거래를 강화하면서 대리점을 온라인유통의 전진기지 또는 베이스캠프로 활용키로 한 것은 바로 주문건당 처리비용을 줄이고 오프라인의 간판격인 대리점의 반발도 최소화하겠다는 이중목적의 전략적 포석인 셈이다. 앞서 언급한 TG랜드의 경우 가전제품은 전국적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는 전자랜드21의 매장을, 컴퓨터는 삼보컴퓨터의 매장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물류문제를 해결키로 했다.
구매력과 물류망을 갖춰도 문제는 남는다. 오프라인업체들의 「탈세관행」이다. 그동안 국내 대부분의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무자료 거래로 부가세 잘라먹기식 영업을 해왔다. 이윤이 적어도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에 그럭저럭 견뎌온 것이다. 특히 이같은 관행은 가격이 비싼 가전제품·PC업계에서는 일반적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만연해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투명성 확보를 위해 일일이 세금계산서를 주고 받고 나중에 부가가치세도 내야 하는 온라인업체들은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여간 힘든 게 아니다.
한 인터넷쇼핑몰 관계자는 『가전제품이나 PC의 경우 상당수의 인터넷 쇼핑몰이 용산 등지에서 제품을 공급받아 재판매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무자료로 거래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전자상거래의 핵심인 지불문제 및 과세문제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인터넷으로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은 현재 신용카드와 현금입금 등이지만 신용카드를 사용할 경우 보안문제가 완벽하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지난 6월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 발표를 통해 올해안에 유통합리화자금 48억원을 투자, 전자상거래 점포수를 1만6785개에서 1만8000여개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내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오프라인과 같은 구매력, 물류, 지불 및 세금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온라인유통은 사이버공간에서만 머무를 뿐 신유통으로 자리잡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2
한덕수 대행도 탄핵… 與 '권한쟁의심판·가처분' 野 “정부·여당 무책임”
-
3
“12분만에 완충” DGIST, 1000번 이상 활용 가능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
4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5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6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7
우원식 “韓 탄핵소추안은 국무총리 탄핵안”… 의결정족수 151석으로 판단
-
8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9
단통법, 10년만에 폐지…내년 6월부터 시행
-
10
권성동, 우원식에 “인민재판” 항의… “비상계엄 선포를 내란 성립으로 단정”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