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남북정상회담 합의 발표를 계기로 국내 중전기기 업체들의 북한 진출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오는 6월 남북한 정상이 회담을 갖기로 합의한 이후 전력·전기 부문이 남북한간 경제협력의 핵심사업으로 부상하면서 중전기기 업계에 북한 특수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현재 중전기기 업체 가운데 북한과 교류를 진행중인 업체는 없으나 교류를 희망하는 업체는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한국전기공업진흥회(회장 유재환)가 정상회담 발표 직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현대중공업 등 21개 응답업체 가운데 20개 업체가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변압기·배전반 등을 중심으로 북한에 공장설립을 희망하는 업체도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전력상황이 상당히 낙후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발전을 비롯한 변전·송전·배전 등 전분야에 걸쳐 특수가 발생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북한은 사실 전력의 절대공급량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의 전체 전력수요는 193억kWh인 반면 공급 가능한 전력량은 142억kWh로 전력수요의 44%가 부족한 것으로 국내 중전기기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다 전력 인프라마저 크게 미비, 송배전 설비의 수요도 상당할 것이라는 게 중전기기 업계의 관측이다. 이에 따라 전력 분야 대북 경헙이 본격화되면 전선·변압기·차단기는 물론 불안정한 전력사정으로 무정전전원장치(UPS)의 수요도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전선 부문을 비롯해 변압기·계전기·개폐기 업체들은 북한의 송전방식인 220V∼500㎸에 맞는 북한의 중전기기 제품 규격 등 전력시스템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등 대책을 마련중에 있다.
이들 업체의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북한 진출이 곧 기술력을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내면서도 『북한 전력 관련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워 본격적인 제품 개발에 애를 먹고 있다』면서 실질적인 대북 사업을 전개하는 데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98년 국내 중전기기 업계의 북한 진출을 추진한 바 있는 전기진흥회의 한 관계자는 『업체들이 대북 진출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북한의 정치·경제 상황 불안으로 투자보다는 단순 교역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내부 상황이 안정되고 정보가 한층 개방되면 업체들의 참여도 가시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허의원기자 ewheo@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삼성, 첨단 패키징 공급망 재편 예고…'소부장 원점 재검토'
-
2
“인력 확보는 속도전”…SK하이닉스, 패스트 트랙 채용 실시
-
3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4
삼성전자 연말 성과급, 반도체 12~16%·모바일 40~44%
-
5
TSMC, 日 구마모토 1공장 양산 가동
-
6
'위기를 기회로'…대성산업,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신사업 추진
-
7
삼성전자 “10명 중 3명 'AI 구독클럽'으로” 구매
-
8
현장실사에 보안측정, 국정공백까지…KDDX, 언제 뜰까
-
9
잇따른 수주 낭보…LG엔솔, 북미 ESS 시장 공략 박차
-
10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실시 협약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