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국민의 정부로 들어서면서 벤처창업을 정책지표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실제 창업현황을 보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여성창업은 전체 창업비율의 3%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이 왜 일어나는 것일까.
기술과 아이디어를 생명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특성상 벤처창업은 이공계 학교에서 빈번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여성의 이공계 진출비중이 너무나 적다. 여학생들은 이미 고등학교때부터 문과생의 비중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공과대에 진학하는 여학생의 수는 전적으로 적다. 몇백명이나 되는 서울대 공과대학의 교수 중 여자교수가 단 1명이라는 사실은 문제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드러내준다. 여성벤처 창업이란 사회문화의 구조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선 창업육성책이란 것도 헛구호가 될 가능성이 많다.
이같은 측면에도 불구하고 산업사회가 지식정보사회로 변화하고 있어 여성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디지털콘텐츠 및 디자인, 전자상거래는 이제까지의 중화학공업 분야와는 달리 여성에게 매우 친숙하고 강점이 있는 분야다. 또 유전공학과 컴퓨터가 결합돼 발전이 가속화하고 있는 생명공학도 여성에게 매우 유리한 업종이다.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거리는 소멸됐으며 성별도 분간이 없는 유니섹스(Unisex)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비즈니스는 이제 무인화된 전자거래로 대체되고 체력을 요구하던 국내외 출장이 축소되고 있는 것 또한 여성 CEO가 남성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 또한 지난해 6월 「여성발전 기본법」을 개정한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여성창업지원의 특례, 자금지원 우대,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설치, 국공유 재산의 무상대부, 세제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수단이 갖춰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벤처기업가를 양성할 수 있는 연구 및 교육기관에 특화된 정책도 필요하다. 여성벤처 창업아카데미를 개설, 창업희망자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해야 하며 공학분야의 여성 공교육을 강화하는 제도적 뒷받침도 중요하다. 이제는 여자상업계 고교보다는 여자 공업계 고교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여자 공업계 전문대학의 신설이나 여자 공과대학의 적극적인 지원시책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감안할 때 여성벤처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교교육의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또 대학에서부터 벤처창업자 특별전형제도를 마련해 여성기업인의 육성을 유도해야 한다. 체육특기자나 음악특기자처럼 벤처창업도 특별한 아이디어와 재능의 필요성을 인정해줘야 한다는 의미다. 여성벤처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남성직원들을 관리하는 여성CEO 경영자 교육프로그램을 입안, 시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언론도 경제구조상 여성벤처 창업자가 더 많이 나와야 하는 당위성을 알리고 지금까지의 사회관습적인 성차별 구조를 타파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많이 본 뉴스
-
1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2
한덕수 대행도 탄핵… 與 '권한쟁의심판·가처분' 野 “정부·여당 무책임”
-
3
“12분만에 완충” DGIST, 1000번 이상 활용 가능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
4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5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6
프랑스 기관사, 달리는 기차서 투신… 탑승객 400명 '크리스마스의 악몽'
-
7
“코로나19, 자연발생 아냐...실험실서 유출”
-
8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9
단통법, 10년만에 폐지…내년 6월부터 시행
-
10
권성동, 우원식에 “인민재판” 항의… “비상계엄 선포를 내란 성립으로 단정”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