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벤처기업을 살리는 길

김경식

 올초 80을 밑돌던 벤처지수가 200을 넘어섰고 수많은 벤처기업과 벤처투자기관, 에인절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어느 TV프로그램을 통해 언급됐듯 「사이버냐 사이비냐」는 말이 등장할 정도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실제 특별한 제품과 기술이 없는데도 수백억원의 벤처자본을 모아서는 마땅한 투자계획이 없으니까 역투자에 나선다든지, 외국 하드웨어 제품의 대리점을 하던 업체가 어느날 갑자기 첨단 시스템통합(SI)업체라면서 언론에 소개되더니만 최근에는 코스닥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기업이 자본을 모을 때는 타당한 투자계획과 규모, 투자에 대한 회수계획이 있어야 하고, 실질적인 목적제품과 기술에 의한 매출과 이익을 발생시킬 자신이 있어야 한다. 이것은 그야말로 벤처기업의 기본자세다.

 세계적으로 내년에만 인터넷 사이트 5000만개가 신규로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고 미국의 경우 전자상거래 분야의 우위를 자신하며 「전자상거래 무관세화」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현재 추진하고 있는 재벌개혁 등 기업구조조정이나 신산업정책의 대안으로 인터넷 벤처기업 육성과 발전분위기 조성을 설정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벤처기업 환경은 아직은 미국의 실리콘밸리나 나스닥에 비교할 때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빠르게 변하는 전세계의 지식정보화와 글로벌화 추세에 우리나라의 법제도나 사회적인 이해도가 뒤따라가지 못하는 게 가장 큰 문제다.

 결국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실제 우수한 기술력과 가능성을 갖춘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과 혜택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기업가치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투자가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몇몇 교수나 정부 관리들이 밀실에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 분야에서 일하는 다수의 전문가에 의한 평가라야만이 객관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도 우리나라에서의 대형 정부발주 SI프로젝트는 현실적으로 재벌계열의 빅5가 아니면 대부분 참여의 기회조차 갖지 못한다. 특히 정부는 투자자금을 모아주는 매개자 역할만으로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을 마무리하려는 모습까지 엿보인다.

 얼마전 정부부처 직원을 만났더니 인원이 100명에 불과한 회사가 어떻게 정부부처를 직접 상대하려고 하느냐는 식이었다. IMF를 지났다고 하지만 속이야 어떻든 아직도 「큰 것이 안전하고 최고」라는 인식은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언론도 그 중요성을 감안, 사실확인을 철저히 거쳐 정확하게 보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벤처기업 스스로도 기술과 경영, 그리고 자본이 분리되어 투명하고 전문적인 경영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벤처기업이야말로 우리나라의 미래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세계가 정보사회로 빠르게 치닫는 지금, 빨리 선두를 차지할 수 있는 길은 아이디어로 발빠르게 움직이는 벤처기업이고 이들의 육성에 신경을 더 써야 한다.

 그리고 일부 우려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좀더 발빠른 대처와 제도 마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