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Y2K> Y2K 해결 성공 사례.. 대한항공

 Y2K문제와 관련해 항공운송 부문은 비단 항공사 뿐만 아니라 「국제민간항공기구(IATA)」나 정부·공항공단 등과 긴밀한 협조 및 정보공유가 필수적인 분야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Y2K문제가 초래할 현실적 재앙을 상상해 볼 때 인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국가적 차원의 중요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국내 대표적 항공사인 대한항공은 지난 97년 4월부터 정보시스템 사업부에서 자체적으로 Y2K문제 해결을 진행해 왔다.

 이미 지난해 7월에는 전사적 차원에서 태스크포스를 구성, 종합적 대응체계를 갖췄으며 현재 Y2K문제 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는 사장 직속 편제아래 상무급의 위원회가 별도로 구성돼 있다. 물론 사업본부별로 태스크포스가 운영되고 있다.

 Y2K문제 해결과 관련, 조양호 사장이 전경련의 Y2K 대책위원장 직책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은 대한항공의 Y2K문제에 대한 외부의 높은 평가를 반영하고 있다.

 문제 해결 방법론의 경우 대한항공은 IATA 및 정부 기준에 근거, 현재 문제인식·영향평가를 거쳐 변환작업 단계가 진행중이다.

 이를 통해 다음달까지 테스트를 마무리하고 상반기내에 Y2K문제 해결 작업을 매듭지을 계획이다.

 진행현황을 보면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포함한 정보통신 부문과 항공기 제작에 필요한 공작기계 등 비정보통신 부문이 각각 80% 정도의 진척률을 보이고 있다.

 대한항공은 또 Y2K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 약 100억원의 특별예산을 편성하고 현재 사업부문별로 비상복구계획을 작성, 완료했으며 해외지역본부의 진척상황 또한 점검·관리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자체적인 Y2K문제 해결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항공기 제작사 및 공항 등과 공조를 적극 추진중이다.

 이를 위해 항공기 정비 및 운항 관련 시스템의 Y2K문제에 대한 보증 답변서를 에어버스·보잉 등 제작사로부터 접수해 안전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또한 대한항공이 취항하는 공항 등지의 Y2K문제 해결을 위해 회원항공사로 가입된 IATA의 Y2K 태스크포스와 긴밀한 정보공유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미 38만달러에 달하는 Y2K문제 해결 기금을 제공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최근 IATA와 공동으로 국내 1군공항과 항공무선통신스테이션(ATS)에 대한 실사작업을 실시했으며 앞으로 전세계 공항 중 적절한 Y2K 대응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는 운항을 취소키로 했다.

 대한항공은 올 하반기부터 Y2K 대응체계의 안정화 작업에 주력한다는 방침 아래 다음달부터 인터넷상에 Y2K문제 해결 진행 현황을 등재할 계획이다. 또 한국Y2K인증센터 등 인증기관으로부터 공식 인증 획득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항공부문의 Y2K문제 해결 노력은 항공사 내부 전산시스템의 보완작업보다 국제적인 범위에서의 협조가 더욱 중요하다는 게 대한항공 측의 견해다.

 또한 항공사에 있어 Y2K문제는 단순한 연도표기 차원을 넘어 기업의 비즈니스를 2000년 이후에도 영속할 수 있느냐, 아니면 자멸하고 마느냐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중차대한 과제라는 인식속에 대한항공은 Y2K문제 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