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기 부품 공용화 "공염불"

 국내 주요 복사기 제조업체들이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부품공용화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롯데캐논·신도리코·코리아제록스 등 국내 주요 복사기 제조업체들은 지난 97년부터 자본재 표준화 계획의 일환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품 표준화·공용화 사업을 적극 추진했으나 업계 사이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해 2년째 실무협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복사기 3사는 특히 올 상반기 복사기의 수입선다변화 품목해제를 앞두고 지난해 말부터 국내 복사기산업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 복사기 관련부품 수입대체로 국내 영세 부품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 아래 잦은 실무협상을 벌였으나 품목 선정에서부터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사기업체들은 이에 따라 표준화 품목을 선정해 국내 1백50여개 복사기 부품공급업체 중 일부 업체와 부품 공동설계 및 생산을 하게 되는 부품공용화 사업 자체를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복사기 업계에서는 『부품공용화 사업은 공용부품의 설계주도권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특정업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며 『이로 인해 각 업체들이 제안한 품목이 극소수 단순부품에서만 일치를 보이고 있고 특히 설계방식을 두고 의견차이가 커 부품공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복사기 업계 한 관계자는 『복사기 부품 표준화사업은 부품의 재질, 성능, 시험검사 방법, 용어, 모델 명칭을 통일하는 작업으로 각 업체들이 우선적으로 이들 제품을 국산화하고 공동개발과 구매를 유도하는 공용화사업의 전단계 사업』이라며 『2년 동안 부품표준화마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사업은 사실상 물건너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계자는 『복사기 업계의 부품공용화 사업은 오랫동안 실무협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나 지난해 시장이 전년비 40% 가량 축소됨에 따라 업체들이 잠시 이를 유보한 것』이라며 『앞으로 국내 복사기 시장이 크게 활성화될 경우 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신영복기자 ybshi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