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 구조조정과 집중화

 세계 마이크로프로세서(MPU)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인텔은 원래 메모리반도체 전문업체였다. 1968년 창업한 인텔은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D램을 비롯, 메모리반도체만을 생산했다.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을 이끌고 있는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업체가 인텔이다. 연산기능을 지니고 있으면서 데이터의 입력 및 삭제가 가능한 EP롬도 인텔이 처음 개발한 것이다.

 이처럼 D램 분야 기술을 선도해 왔던 인텔이 오늘날 MPU시장의 왕자로 군림하게 된 것은 위기에 직면했을 때 구조조정을 하면서 선택과 집중을 잘한 결과다. 일본 반도체업체들의 저가공세에다 85년부터 시작된 반도체 불황에 견디지 못한 페어차일드·RCA 등 미국 반도체업체들이 D램사업에서 철수할 때 인텔도 85·86년 2년 연속 매출이 감소하는 등 위기에 직면했다. 인텔도 어쩔 수 없이 7천2백여명을 감원하고 공장도 2개나 폐쇄했다. 그러나 이같은 구조조정에도 적자를 해소하지 못하던 인텔은 결국 86년 D램사업을 포기하고 대신 MPU사업에 나섰다.

 인텔은 MPU분야로 사업을 전환한 다음해인 87년 매출액 증가와 함께 흑자기업으로 돌아섰다. 현재는 세계 MPU시장의 85%를 점유하고 있다. 이는 D램에 집중됐던 자원을 구조조정과 함께 MPU에 집중하고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면서 3∼4년 주기로 차세대 제품을 개발한 결과다. 무엇보다 신시장을 개척하고 경쟁사보다 우위를 지닌 「히트사업」으로 구조조정을 했기 때문이다.

 인텔처럼 자원 집중화로 「위기를 기회」로 만든 업체는 많다. VCR시장에서 빅터사에 패배했던 소니는 베타방식의 VCR기술을 적용한 초소형 8㎜캠코더를 만들어 히트사업을 창출했다. 미래산업도 강점인 검사장비 기술을 바탕으로 「테스트 핸들러」 개발에 자원을 집중, 「히트사업」화해 현재 국내 벤처기업의 대명사로 부상하기도 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경영위기 탈출을 위해 적자규모를 줄이는 것도 필요하지만 경영위기에서 제대로 벗어나려면 돈을 벌어주는 히트사업을 창출해야 한다.

 버리기 위주의 단기처방으로 인해 「위기 뒤에 더 큰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적극적인 구조조정은 선택을 통한 자원의 집중에 있음이 분명하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