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신규 지정한 전체 산업단지 면적이 작년의 3% 수준으로 격감, 사상 최저치로 떨어질 전망이다. 특히 장기간 미분양 상태로 남아 있는 산업단지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어 내년 중 새로 지정되는 면적은 거의 없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30일 건설교통부의 「연차별 산업단지 지정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국가산업단지와 지방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으로 지정된 면적은 고작 99만5천㎡(약 30만2천평)로 지난해 3천3백18만㎡(1천5만4천평)의 2.99%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산업단지 개념이 첫 도입, 시행된 지난 74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국가산업단지가 7만9천㎡(2만4천평)가 신규 지정돼 지난해 1천77만8천㎡(3백26만6천평)의 0.7%에 불과,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지방산업단지 역시 91만6천㎡(27만8천평)로 작년 2천1백47만6천㎡(65만1천평)의 4% 수준으로 급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교부 관계자는 『대다수 산업단지의 경우 미분양 상태가 매우 심각한 상황인 만큼 내년에는 추가 지정되는 산업단지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
경제 많이 본 뉴스
-
1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조기 지정
-
3
GDP 2배 넘는 민간 빚…“금리 인하기, 금융취약성 커져”
-
4
빗썸, 휴면 자산 4435억원 반환 나선다
-
5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6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1500원대 초읽기
-
7
최상목 “韓 권한대행 탄핵소추 국정에 심각한 타격…재고 호소”
-
8
내년 실손보험 보험료 '7.5%' 오른다
-
9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10
녹색채권 5兆 돌파…“전기차·폐배터리 등 투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