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워크아웃(Work Out)」이란 말이 마치 상용어처럼 사용되고 있다. 미국 사람들의 속어에 속하는 이 말을 제대로 모르고는 우리나라의 금융 정책이나 구조조정 정책을 이해할 수 없다고까지 할 정도다.
워크아웃의 본래 뜻은 운동 또는 스포츠의 트레이닝을 말한다. 한마디로 신체적 단련을 위해 프로그램을 짜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 점진적·단계적으로 실천에 옮기는 계획된 훈련을 의미한다. 기업구조조정 과정에 이 말이 도입된 것은 80년대 말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의 최고경영자 잭 웰치에 의해서다.
그러나 미국의 금융계에서 쓰이는 워크아웃은 의미가 전혀 다르다. 부실채권의 회수 또는 부실채권의 회수대책을 뜻한다. 이처럼 워크아웃이란 말은 비록 같은 말일지라도 운동, 기업의 자율적 구조조정,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회수대책 등 세 갈래의 뜻으로 쓰인다.
우리의 워크아웃은 그 의미를 종잡을 수 없다. 정부가 기업회생을 위해 적극 추진하고 있는 워크아웃 개념을 그때그때 편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워크아웃의 「아웃(Out)」이란 단어 때문에 부실기업 「퇴출」작업으로 받아들여져 워크아웃 대상기업으로 선정되기 무섭게 제2금융권 등에서 대출금을 다퉈 회수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정부가 「퇴출」이 아닌 「회생」이 위주라고 「안심」시키면서 워크아웃은 곧 「기업가치 회생작업」으로 통용됐다. 그것도 부자연스러워 어느새 「기업개선작업」으로 의역해 쓰이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최근 5대 그룹이 마련한 7개 업종의 사업구조조정안 가운데 반도체와 발전설비 부문은 의미없다고 판단하고 이들 분야를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 실사를 통해 여신중단과 함께 필요시 퇴출까지 시키는 등 강력한 제재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즉 워크아웃의 주된 개념이 기업 회생에서 퇴출을 위한 수순으로 바뀐 것이다. 이처럼 정부 스스로 워크아웃 개념을 혼동해 사용함으로써 재계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정부가 발표하는 정책의 메시지는 간단명료해야 한다. 발표 때마다 「개선」 「퇴출」 「특혜지원」 등으로 무게를 달리하는 메시지는 혼란만 줄 뿐이다.
이제 정책 메시지도 「구조조정」해 워크아웃이란 아리송한 표현을 「퇴출」시키고 그냥 평범하게 기업구조조정 작업으로 통일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판단이다.
경제 많이 본 뉴스
-
1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조기 지정
-
3
GDP 2배 넘는 민간 빚…“금리 인하기, 금융취약성 커져”
-
4
빗썸, 휴면 자산 4435억원 반환 나선다
-
5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6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1500원대 초읽기
-
7
최상목 “韓 권한대행 탄핵소추 국정에 심각한 타격…재고 호소”
-
8
내년 실손보험 보험료 '7.5%' 오른다
-
9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10
녹색채권 5兆 돌파…“전기차·폐배터리 등 투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