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창간16주년] 전자.정보통신 업계 경영환경 실태 설문조사 III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

 전자·정보통신업계 최고경영자들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구조조정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이 「바람직하지 않다(12.5%)」거나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4%)」는 등의 부정적 평가는 16.5%인 데 반해 「매우 바람직하다(33%)」 「어느 정도 바람직하다(50.5%)」는 등의 긍정적 평가는 전체의 83.5%로 압도적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정보통신서비스업계는 1백%가 긍정적으로 평가해 눈길을 끌었다. 또 컴퓨터(88.9%), 정보통신기기(85.3%), 유통(83.3%) 업계 등도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소프트웨어 및 산업전자 업계 경영자들은 각각 33.3%·20%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등 타 분야에 비해 부정적 견해가 높았다.

 최근 재계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교환(빅딜)과 관련해서는 절반 이상(58%)이 「불가피한 것이며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불가피하지만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견해가 33%, 「불가피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견해가 9%에 달해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과 달리 빅딜에는 상당수가 반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 보면 현재 대기업간 구조조정이 추진되고 있는 반도체가 포함된 부품업계의 경영자들 중 58.8%가 「불가피하고 바람직하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또 정보통신서비스 업종도 과당경쟁을 반영한 듯 76.2%가 「불가피하고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보여 이들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올들어 구조적 모순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유통업계 경영자는 모두 대기업간의 빅딜을 「불가피하고 바람직하다」고 답했으나 소프트웨어(60%), 정보통신기기(52.9%), 산업전자(50%) 업계는 절반 이상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해 업계간의 이견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IMF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업종 및 기업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체의 23.5%가 각종 규제완화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외환위기 극복(22%), 기술개발 지원(19%), 수출금융 지원(14%), 공공투자 확대(13.5%), 법령 및 제도정비(6.5%) 등의 순으로 지적했다. 특히 규제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은 경영자들은 유통이 50%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정보통신서비스(38.1%), 가전(35.3%) 업종 순이었다. 또한 생산공장을 운영하지 않는 회사의 응답비율이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회사에 비해 평균 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기술개발 지원은 산업전자(26.7%), 반도체 및 부품(23.5%) 업종과 사업장 규모가 작고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회사일수록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수출금융 지원에 대해서는 반도체 및 부품(20.6%), 컴퓨터(22%) 업종과 종업원 2백인 이상, 매출 1천억원 이상 등 사업장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응답비율이 높았다.

 최근 정부가 21세기 정보화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화이트칼라의 실업문제 해소와 국가정보화 사업 박차를 가하기 위해 벌이는 전자도서관 구축사업 등에 대해서는 전체의 3분의 2 정도인 65.5%가 긍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그러나 매우 긍정적 평가를 내린 경영자는 소수(9.5%)에 불과하고 절반(56%) 이상이 「어느 정도 기여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전자·정보통신업계의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현실적인 대책은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 「기술개발 지원 및 기술력 강화를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는 응답이 8.5%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 벤처기업 육성지원, 중소기업 활성화로 고용창출 유도, 해외시장 개척에 필요한 정보제공, 공공투자 확대 및 조속한 시행, 중소기업 수출금융 지원, 외국업체 투자유치로 고용창출, 법령제도정비 및 규제완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적정 환율은...>

 현 상황에서 국내 전자·정보통신업계의 적정환율은 얼마가 적당한가. 물론 업종마다 적정환율이 다르지만 조사결과로는 미국달러에 대한 적정 원화환율은 1천3백11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1천2백원대 이하가 적정하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의 23.5%에 불과한 반면 1천3백원대는 48.5%에 달했다.

 현재 환율이 1천3백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환율측면에선 지금이 전자·정보통신업계의 경영환경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 1천4백원대가 적정하다는 응답도 28%로 나타나 관심을 끌었다.

 1천3백원대가 적정하다고 응답한 경영자들이 밝히는 이유는 「수출 가격경쟁력 확보(28.9%)」 「수출과 수입경쟁력의 균형(12.4%)」으로 꼽았다.

 특히 엔화대비 10대1 수준이 적당하고 한국 경제상황과 주변국의 환율을 고려한 수준이라는 응답도 많아 전자·정보통신업계가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선 환율이 1천3백원대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밖에 「금리안정을 위해」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수준」 「경상수지 마지노선」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업종별로 적정환율을 보면 가전업계는 1천3백44원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소프트웨어업계는 가장 낮은 1천2백40원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반도체·부품 1천3백28원, 산업전자 1천3백25원, 정보통신기기 1천3백19원, 유통 1천3백8원, 컴퓨터 1천2백78원, 정보통신서비스 1천2백64원 등이었다. 한마디로 수입을 많이 하는 분야일수록 적정환율을 낮게 보았으며 수출비율이 높은 업체일수록 적정환율을 높게 보고 있음을 반영했다.

 지난해 말 IMF 체제가 시작된 이후 환율변동으로 인해 손실 또는 이익을 본 기업은 82%로 나타나 대부분의 전자·정보통신업계가 환율변동으로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32%는 이익을, 66.5%는 손실을 입은 것으로 조사돼 이익보다는 손실을 본 기업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종업원 수가 4백인 이상이면서 매출액이 1천억원 이상인 대기업의 94%가 환율변동에 따른 손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수출입 업무가 많은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환율변동에 민감함을 반영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및 부품업계는 86.6%가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전자와 소프트웨어업계 가운데 손해를 경험한 기업도 각각 86.7%로 나타나 주목됐다.

 반면 유통업계의 33.3%는 이익을 경험했다고 답해 수입제품 판매로 많은 이익을 남긴 것으로 분석됐다.

 사례별로 살펴보면 손해사례는 원자재 및 제품 수입원가 상승, 외화 차입에 따른 환차손 발생, 장비수입 비용증가, 가격경쟁력 위축, 수입 전자제품 판매량 급감 등이며 이익사례는 수출용이, 수출확대에 따른 환차익, 수출단가 상승, 자금수지 개선, 수출대금 회수지연에 따른 환차익, 재고자재 평가이익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외경쟁력은 어떤가>

 현재 국내 전자·정보통신업계의 대외경쟁력이 가장 취약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번 조사에서 최고경영자들의 43%는 「기술력」을 꼽았다. 특히 마케팅 및 홍보 부문이 취약하다는 응답도 20%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가격경쟁력(17.5%)과 품질경쟁력(10.5%)의 경우 취약하다는 응답이 10%대에 불과해 경영자들이 판단하기에는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췄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 기술력 배양이 시급하다고 지적한 비율을 보면 산업전자가 56.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정보통신서비스(47.6%), 가전(47.1%), 컴퓨터(44.4%), 반도체·부품(41.2%), 정보통신기기(38.2%), 유통(33.3%), 소프트웨어(26.7%) 등의 순이었다. 또한 종업원 2백인 이상(58.8%)이거나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46.6%)이 기술력을 취약 분야로 꼽았다. 마케팅 및 홍보 부문이 취약하다는 응답은 역시 유통업계로 전체의 50%에 달했다. 또 소프트웨어(40%), 정보통신서비스(38.1%) 업계 등 서비스업종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격경쟁력 부문은 가전(23.5%), 산업전자(23.3%)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꼽은 반면 정보통신서비스 및 컴퓨터산업계 경영자는 우리나라 가격경쟁력이 다른 나라에 비해 오히려 높다고 평가해 관심을 끌었다. 제품 품질면에서는 최근에 설립한 회사일수록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컴퓨터·소프트웨어업계 경영자의 20% 이상, 정보통신기기·가전산업·반도체 및 부품업계 경영자의 11.8%가 이에 뜻을 같이했다. 반면 정보통신서비스·산업전자 관련기업 가운데 품질개선이 시급하다고 답한 기업은 각각 4.8%·3.3%에 불과했으며 유통업계는 품질문제를 지적하지 않아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최정훈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