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겉도는 실직자 재취업교육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체제에 따른 실업대책의 하나로 실직자의 정보통신교육 지원예산규모와 수혜대상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정보통신 전문 여성인력 양성 및 창업 지원에 적극 나서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실업인력에 대한 정보통신교육 지원사업 강화를 위해 최근 이에 대한 자금지원을 54억원으로 대폭 늘리고 정보통신교육 수혜대상도 당초의 1천7백50명에서 3천명으로 크게 늘리기로 한 것도 적극적인 실업대책의 일환이다.

 실직자 정보통신교육 대상은 고용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실업자로 5인 이하 사업장에서 근무하다 실직한 사람과 대학 및 전문대를 졸업하고도 취업하지 못한 신규 실직자들로서 이들이 4∼6개월간 전문교육을 받는 데 소요되는 총교육비의 70%까지, 1인당 2백만원까지 지원하는 것이므로 이들에게는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달부터는 정보화근로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정통부는 실업완화 및 경기부양을 위해 1천3백50억원의 예산을 마련하고 연인원 1만여명의 고용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정보화근로사업을 이달부터 본격 추진키로 하는 한편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업체를 대상으로 정보화촉진기금 6백58억원을 융자해 주기로 한 것도 모두가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실업대책의 일환으로 풀이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새로운 지식을 습득해 노동의 질을 높이거나 다른 분야로 진출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실직자 재취업교육은 실직자를 줄인다는 당면과제 외에도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산업에 필요한 우수인력을 양성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노동부·정통부·교육부 등 관계부처가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는 향후 전망이 밝은 산업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어 재교육 수요가 많은 편이다. 이에 따라 컴퓨터 관련 전문학원은 물론 대기업 교육센터, 대학의 정보통신 관련학과까지 실직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신설, 학생을 모집해 교육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상당수의 이들 교육기관이나 학원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과과목이나 내용이 현실에 맞지 않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 것은 취업대책의 실효성은 물론 정보통신교육의 내실화와 활성화를 위해서도 근본적인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

 또 실직자교육이 4∼6개월의 단기과정으로 일반적인 내용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취업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간과해서는 안될 부분이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에 맞춰 커리큘럼을 짜다보면 필요한 교육을 다 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정부보조만 받는 무료교육에 의존하다보니 교육의 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귀중한 시간과 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라서도 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교육내용도 문제다. 상당수의 학원이나 교육기관이 필기고사 위주의 자격증 취득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재취업교육의 목적이 바로 현업에서 일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단기교육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같은 자격증 취득 위주의 교육은 결코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원들 스스로가 수강자들을 끌어모으는 데만 힘을 쏟을 것이 아니라 기업의 수요를 적절히 고려, 좀더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수강생들도 무료라고 일단 등록하고 보는 막연한 자세에서 벗어나 자신의 자질과 적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하고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 꼼꼼히 따져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교육기관 선정과 사후관리 등에 좀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 정보통신교육을 이수한 실직자들이 손쉽게 재취업할 수 있도록 해당 교육기관들이 적극적인 취업알선에 나서도록 유도해 나가는 한편 교육 이수자 가운데 대졸 미취업자·일반주부 등에게는 정보화근로사업에 참여하거나 중소업체 인턴사원으로 채용될 수 있도록 관련사업을 연계 지원해 나가는 일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