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중소기업청, 통계청 등 8개 외청과 3개 기관 등 모두 11개 정부기관이 정부 대전청사에 입주하기 시작했다. 지상 19층, 지하 3층 규모의 4개 건물과 부속동으로 이루어진 대전청사는 전산시스템과 초고속정보통신망, 구내 근거리통신망(LAN), 건물종합관리시스템 등 첨단 종합정보통신시스템이 갖춰진 그야말로 인텔리전트 빌딩이다.
4개 건물은 기본적으로 초고속정보통신망과 근거리통신망 등이 그물처럼 둘러쳐져 있다. 각 동 앞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오스크(무인안내대)가 설치돼 있고 건물 내부 곳곳에 배치된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는 방문하고자 하는 부서의 위치는 물론 원하는 업무 등을 언제, 어느때나 확인할 수 있다.
신청사 초고속정보통신망은 세종로 정부1청사 및 과천 정부2청사와 영상회의, 광파일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45M T3급 광케이블로 연결돼 있다. T3급 전송망을 바탕으로 정부 외청들은 중앙정부 행정기관과 전자서류 전송 및 영상회의는 물론 대전청사에서 벌어지는 각종 활동 및 현황을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은 향후 초고속정보통신망이 구축되더라도 약간의 수정을 거치면 그대로 적용이 가능해 미래형 전자정부체계의 효시라 할 수 있다.
이 통신망은 특히 현재 초고속 선도시험망으로 구축된 한국통신 충남사업본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화문 전화국을 잇는 T1급보다 월등한 전송속도를 자랑하는 것이어서 기초적인 수준의 멀티미디어 정부가 구현됐다는 게 정보통신업계의 평가다.
이보다 진보한 수준인 「정보통신 정부, 전자정부」 구축은 중앙행정망 구축 계획에 따라 현재 중앙부처간에 연결된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지방자치단체와 유관기관으로 확대 적용하는 2000년대 초반에 이루어질 전망이다. 여기에다 각 외청이 오는 2000년까지 자체 전산시스템과 인터넷을 통한 정부기관 접속, 원격행정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어서 2000년대에는 민원인들이 직접 청사를 방문하지 않고도 각종 서류처리가 가능해 「전자정부」의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각 외청 중 현재 정보통신시스템이 가장 잘 된 곳은 기술전쟁을 주도할 특허청. 특허청은 국내 특허정보의 DB화를 마치고 오는 99년까지 전국 어디서나 통신을 통해 특허업무가 가능토록 할 방침이어서 종이없는 행정시대를 열어갈 미래정부의 틀을 다지고 있다. 이밖에 통계청, 정부기록보존소, 중기청 등 다른 외청들도 신청사 시대에 맞는 첨단 정보통신시스템 도입을 서두르고 있어 대전둔산 정부 신청사는 인텔리전트 행정도시의 거점으로 성장해 나갈 전망이다.
이처럼 정부 신청사에 첨단정보통신시스템이 구축됨에 따라 지적재산권연구센터, 특허기술정보센터 등 서울지역의 외청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들이 굳이 대전으로 이전하지 않더라도 업무를 수행하는 문명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김상룡 기자>
경제 많이 본 뉴스
-
1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조기 지정
-
3
GDP 2배 넘는 민간 빚…“금리 인하기, 금융취약성 커져”
-
4
빗썸, 휴면 자산 4435억원 반환 나선다
-
5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6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1500원대 초읽기
-
7
최상목 “韓 권한대행 탄핵소추 국정에 심각한 타격…재고 호소”
-
8
내년 실손보험 보험료 '7.5%' 오른다
-
9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10
녹색채권 5兆 돌파…“전기차·폐배터리 등 투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