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벤처기업 지원 자세

최근 벤처기업 지원정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은 지원시책은 낮은 이자율의 여신지원과 벤처타운 입주, 해당분야 석, 박사 출신의 창업지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산업현장에서 뛰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러한 일련의 지원정책이 효과적일지 의심스런 내용이 많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지원정책 이전에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정부가 벤처정신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물론 정부에 벤처정신을 요구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벤처기업은 그 단어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도 그 성공 가능성이 매우 낮은 만큼 좀더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는 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지원을 결정하는 것이 아닌, 벤처기업과 투자자 또는 금융기관을 연결해 주는 중간 매개체 역할에 충실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투자자들에게 투자하는 것이 좀더 효율적인 지원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정부는 「벤처 펀드」를 만드는 것으로 만족해야 한다. 직접 지원사업에 개입하는 것은 단지 「낮은 금리를 지원하는 금융기관」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없을 것이다.

현재 벤처지원 기관들은 정부의 벤처기업 지원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복사해서 사용하고 있다. 어디를 가나 모두가 똑같은 이야기다. 연대보증인 몇 명, 직전연도 재무제표, 부동산 담보만 있으면 정부자금을 타는 데는 아무런 무리가 없는 것이다. 사업의 타당성 검증에는 별로 관심이 없으며 그 사업 분야가 정말로 성공할지에 대한 것은 수많은 업체를 심사해야 하는 담당자로서는 벅찬 것이 사실일 것이다.

또 하나, 아이디어와 자금만 있다고 해서 벤처기업이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다. 대기업만 소유와 경영이 분리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중소기업인 경우에는 아이디어를 가진 기술자와 경영경험을 가진 전문 경영인이 더욱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해당 분야 석, 박사가 창업을 하는 경우 우대정책을 하겠다는 것은 중소기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이다. 회사의 대표자는 마치 합창단을 지휘하는 지휘자와 같아야 그 회사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문 경영경험이 있어야 한다.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요소만 가지고는 절대로 성공할 수 없으며 조직관리 그리고 효과적인 마케팅방법론, 인사, 회계에 이르기까지 중소기업 사장의 경우는 특히 팔방미인의 요소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연구실에서 연구만 하던 사람들이 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면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상품화하려면 오히려 전문 경영인을 정부가 추천하는 것이, 그리고 일정기간 자금을 투자하는 게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벤처기업 지원의 시나리오는 해당 분야의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나 기업이 투자자에게 투자요청을 하면 투자기관은 그 기술에 대한 가치를 해당 분야의 전문 평가기관에 평가를 의뢰하고 평가기관은 평가를 수치화해 투자권고 사항을 결정, 투자자에게 통보한다. 다시 투자자는 그 평가기관의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관리하는 체제도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는 투자자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해도 역시 벤처기업은 말 그대로 성공확률이 낮다는 것을 미리 짐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하지만 1백 개 업체를 지원해서 아흔아홉 개가 실패하고 한 개 업체를 세계적인 벤처기업으로 성공시키면 투자자도 성공하는 것이라는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의 자금대출로는 불가능하고 투자로 전환해야 더욱 효과적인 벤처기업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李秉成 에스포넷 사장>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