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강화 방안
전자, 정보통신 기업들은 우리나라 경제회복을 위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경상수지 적자 및 외채축소(45.2%)를 꼽았다. 또 중소기업 육성(19%), 정경유착 근절(10.5%), 근검절약(7.6%), 재벌기업 규제(6.2%), 물가안정(5.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69.1%가 경상수지 적자 및 외채축소를 지적한 반면 중소기업은 경상수지 적자 및 외채축소(36.8%)와 중소기업 육성(22.6%)을 지적한 비율이 비슷했다.
IMF시대에서 회사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우선 해결과제로는 전체적으로 시장개척 및 수출다변화(33.8%), 고비용구조 타파(31.9%), 기술개발(24.8%), 채산성 확보(22.4%), 기업 구조조정(19%), 신제품 개발(16.7), 마케팅력 강화(16.2%), 품질향상(15.2) 순으로 답했다. 지난 97년 9월 본사가 실시한 「전자, 정보통신산업의 비전과 전망에 관한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기술개발 중요성이 낮아지고 경영, 산업 요인 중요성이 강조됐음을 알 수 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경우 40%가 고비용 구조 타파를 지적한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36.8%가 시장개척, 수출다변화, 29%가 고비용 구조 타파를 꼽아 기업규모에 따라 선후 해결과제가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도 정보통신 기기 및 서비스 업체의 경우 기술개발을 우선으로 꼽은 반면 산업전자업체의 경우 시장개척 및 수출다변화를 최우선 해결과제로 꼽았다. 나머지 가전, 부품, 컴퓨터 업체는 고비용 구조 타파를 지적했다.
또 새로운 행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모두 최우선으로 국가 비전과 목표수립 및 기술개발 전략 마련(전체 평균 56.2%)이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다음 과제로 대기업은 기술개발지원(34.5%), 인프라 구축(25.5%), 통상외교 능력강화(21.8%)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는 견해다.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지원(50.3%)을 차선으로 꼽았고 다음으로 통상 외교능력 강화, 기술개발 지원, 법령 및 제도정비 등의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자, 정보통신 기업들은 올해 내수시장이 지난해보다 매우 침체될 것으로 전망하는 등 비관적인 견해가 짙지만 다각도의 구조조정을 통해 이를 극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기업구조조정 작업을 완료했거나 계획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이 전체의 87.1%에 달한다는 조사결과에도 잘 나타나 있다. 경제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구조조정을 끝마친 기업은 전체의 11.4%였다. 또 가까운 시기에 구조조정을 할 계획이 있거나 현재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기업도 75.7%나 돼 구조조정 계획이 없는 기업 12.9%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조사에 응한 5개 유통업체중 1개 업체가 이미 기업 구조조정을 마쳤으며 나머지 4개 업체도 기업 구조조정안을 계획중이라고 답해 구조조정에 가장 민감한 관심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가전업체로 16개 업체 가운데 93.8%인 15개 업체가 기업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었으며 정보통신기기 업체는 36개 업체중 91.7%에 달하는 33개 업체, 정보통신서비스는 22개 업체중 90.9%인 20개 업체, 산업전자는 31개 업체중 90.3%인 28개 업체가 구조조정을 적극 추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프트웨어 업체는 80%, 컴퓨터 업체는 72.7%가 구조조정에 적극성을 보였지만 타 업종에 비해 비교적 낮은 비율이었다.
기업 구조조정의 내용으로는 업종 및 기업 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경비절감과 영업력 강화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경비절감의 세부사항으로 대기업은 91.8%가 투자비용을 감축하고 내년도 예산 동결, 인력감축, 부서통폐합, 신규사업보류, 한계사업정리 등의 순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중소기업들은 불필요한 인력을 감축하고 예산동결, 투자감축, 부서통폐합, 신규사업보류, 한계사업정리 등의 순이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더 이상의 성장 가능성이 없는 한계사업을 정리하는 방안을 가장 마지막에 실시하겠다고 답했는데 이것은 각 기업이 과감한 구조조정보다는 소극적이면서도 안정적인 구조조정의 방법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구조조정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예산동결을 시행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설문에 응한 전체 2백10개 기업중 절반정도인 51.4%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구분하면 컴퓨터 관련기업의 62.5%가 예산동결을 할 방침이며 정보통신 서비스업체는 60%, 소프트웨어업체 58.3%, 산업전자 관련업체 53.6%, 부품업체 50%, 정보통신기기업체 48.5%, 가전업체 46.7% 유통업체의 20%가 내년도 예산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구조조정시 인력감축계획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71%로 조사돼 대부분의 기업이 인력감축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감축 방법으로는 신규채용을 하지 않는 기업이 전체의 67.7%, 감원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26.2%, 신규채용 억제와 감원을 병행할 기업도 6.2%에 달해 기존 직장인의 실업난과 더불어 대졸자들의 취업난은 점차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감원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감원 비율의 평균은 약 15.9%이다. 구조조정을 통해 직원 1백명 가운데 평균 16명 가량을 감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기업들의 평균수치로 업종별로 구분한다면 정보통신서비스, 가전, 소프트웨어, 정보통신기기 관련기업들은 평균을 훨씬 넘어선 감원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보통신서비스업체는 전체의 30%를 감원할 계획이며 가전업체는 25%, 소프트웨어업체는 23.3%, 정보통신기기업체는 현재 인원의 17.8%를 감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 산업전자 관련업체는 13.3%, 부품업체는 12.9%, 유통업체는 12.5%, 컴퓨터업체는 10% 정도의 인원을 감원할 예정이다.
기업 구조조정시 경비절감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계획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의 91.3%로 거의 모든 기업이 경비절감 계획을 가지고 있어 난관극복의 방법으로 비용절감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비절감의 방법으로 감봉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4분의1이 넘는 26.3%로 나타났으며 이들 기업은 평균 15.8%에 해당하는 금액을 감봉한다는 계획이다. 업종별로는 부품업체가 22%, 산업전자 18%, 정보통신기기 13.3%, 정보통신서비스 12.8%, 가전과 컴퓨터가 12.5%, 소프트웨어와 유통업체가 10% 수준을 각각 감봉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조조정의 또다른 방법으로 부서통폐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41%로 중소기업(39.6%)보다 대기업(44.9%)의 비율이 다소 높았으며 소프트웨어 업종이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58.3%의 비율을 보였다. 반면 가전업체가 가장 낮은 33.3%의 비율을 보였다.
자금시장 결빙으로 자금회전의 어려움이 가속화되자 새로운 사업의 투자를 감축하겠다는 기업도 상당수에 달했다. 중소기업 가운데 49.6%가 투자감축을 고려하고 있으며 대기업은 이보다 훨씬 많은 63.3%가 투자감축의 방법을 통해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부품이 58.1%, 가전 53.2%, 산업전자 50.9%, 정보통신기기 48.5%, 정보통신서비스 45%, 소프트웨어 41.7%, 유통 40%, 컴퓨터 37.5% 순으로 부품, 가전, 산업전자 업종이 타 업종에 비해 투자감축 비율이 높았다. 특히 연간 매출액이 2백억원 미만인 업체들은 28.6%만이 투자감축을 하겠다고 답한 반면 2백억~3백99억원 사이의 업체는 50%, 4백억~9백99억원 사이는 64.3%, 1천억원 이상인 업체는 64.2%가 투자감축 계획을 밝혀 내년도 대기업의 투자감소가 눈에 띄게 늘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도에 신규사업 계획하고 있거나 신규사업 준비를 구상하려던 기업의 30.6%가 긴축운영의 일환으로 신규사업을 보류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역시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의 신규사업 보류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중소기업은 27.6%인 반면 대기업은 전체의 3분의1이 훨신 넘는 38.8%가 신규사업보류 계획을 밝혔다. 업종별로는 컴퓨터 관련 기업의 62.5%가 신규사업을 보류할 것이라고 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정보통신 서비스 50%, 유통 40%의 비율이어서 비교적 미래 유망사업으로 손꼽히는 업종이 IMF 한파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각 기업들이 구조조정 방법에 있어 가장 소극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한계사업정리였다. 전체 기업의 26.8%만 한계사업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중 중소기업은 23.9%, 대기업은 34.7%였다. 업종별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분야는 정보통신서비스와 유통으로 전체의 40%가 한계사업 정리를 추진하고 있었으며 그외에 컴퓨터 37.5%, 정보통신기기 36.4%, 소프트웨어 33.3% 등으로 유망업종군이 평균을 웃도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이들 업종이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비용절감 노력에 힘쓰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각 기업이 비용절감 못지않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분야는 영업력강화이다. 기업운영 비용은 최대한 줄이는 대신 영업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이익을 최대화하겠다는 전략에서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중 85.5%가 영업력 강화를 난관극복의 우선 과제로 꼽았으며 이중 대기업은 79.6%, 중소기업은 88.1%의 비율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산업전자(92.9%), 소프트웨어(91.7%), 부품(90.3%), 가전(86.7%), 정보통신기기(84.8%), 컴퓨터(75%), 정보통신서비스(70%), 유통(60%) 순이어서 서비스나 유통업종에 비해 제조업체가 영업력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또 올해 전반적인 경기전망을 약간 또는 매우 나빠질 것으로 전망한 기업의 84.6%가 영업력 강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에 비해 별다른 경기변화가 없거나 약간 좋아질 것으로 전망한 기업의 1백%가 영업력을 강화하겠다고 답한 것은 경기가 나아져도 기업 생존을 위해선 영업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특히 경비절감 차원에서 대부분의 기업이 인력감축 계획을 추진하면서도 영업력 강화를 추진한다고 밝혀 관리직 인원을 대거 영업직으로 전환하는 식의 구조조정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설문에 답한 기업들은 대부분 올해 총투자 비율을 올해보다 15%가량 낮은 선에서 결정하는 등 비용절감을 추진하면서도 매출성장 목표는 10% 정도를 세우고 있다. 98년도 매출성장 목표가 가장 높은 업종은 정보통신기기로 작년보다 23.4%를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휴대전화와 함께 PCS 보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단말기 수요 또한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가전 12.8%, 부품 11%, 산업전자 10.8%, 정보통신서비스 6.5%의 순이었다. 반면 낮은 매출성장 목표를 세우고 있는 업종은 올해 부진을 면치 못했던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업종이다. 올해에도 별다른 호재가 없는 한 큰 폭의 성장은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소프트웨어는 올해의 작년실적기준 98.3%, 컴퓨터는 1백5.3% 수준에서 매출목표를 세우고 있다.
영업력 강화와 함께 역점을 두는 시장은 업종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정보통신서비스 업종은 내수 85.7% 수출 7.1%, 소프트웨어 업종은 내수 72.7% 수출 27.3%, 컴퓨터와 유통은 내수 66.7% 수출 33.3%의 비율로 수출보다는 내수에 무게중심을 둘 계획이다. 반면 가전은 내수 30.8% 수출 69.2%, 부품은 내수 26.8% 수출 73.2%, 산업전자는 내수 19.2% 수출 76.9%, 정보통신기기 내수 7.1% 수출 92.9%로 수출에 역점을 둘 계획이다.
구조조정 차원에서 업종변경 또는 사업다각화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엔 사업규모 및 조직이 비대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쪽에서 훨씬 유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변경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중소기업 뿐이며 대기업쪽에선 한 군데도 없다. 업종별로는 가전, 산업전자, 정보통신기기, 부품 등이다. 사업다각화 계획은 중소기업 뿐 아니라 대기업(32.7%)도 추진하고 있었으나 이 역시 중소기업(52.3%)의 비중이 훨씬 컸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기기(61.1%), 컴퓨터(54.5%), 부품(50%) 업체의 절반 이상이 사업다각화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업종중 정보통신서비스가 45.4%, 산업전자 41.9%, 유통 40%로 평균치 이상이었으며 가전과 소프트웨어는 각각 31.3%, 26.7%로 비율이 적은 편이었다.
전자, 정보통신업체들은 자사의 기술수준을 어느 정도로 평가하고 있는가. 선진국의 동종 업체를 1백점으로 가정했을 때 자사의 기술력 수준을 질문한 결과 평균 77.3점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력이 80점 이상으로 평가한 업종은 컴퓨터(83.1점), 부품(81.8점), 유통(80점) 등이었으며 70점대는 산업전자(78.9점), 소프트웨어(76점), 가전(73.9점), 정보통신기기(72.6점)등이다. 반면 정보통신서비스 분야는 평균치에도 훨씬 못미치는 67.1점으로 다소 열세에 있었다.
이들 업체중 IMF 여파, 경기불황 등으로 자금난에 처해있는 기업은 전체 2백10개 기업중 31.9%인 67개에 달했다. 이중 상당히 곤란한 편이라고 답한 기업은 26.2%이고, 나머지는 그 정도가 심해 매우 심각한 곤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조사과정에서 자금사정이 매우 심각하거나 부도위험에 처해 있는 기업들은 사실상 제외시켰기 때문에 자금부족으로 곤란에 처해있는 기업은 평균치인 31.9%를 훨씬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별로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더 심한 자금난을 겪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기기, 가전,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가 타 업종에 비해 자금부족 압박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부족의 원인은 은행대출의 어려움이 40.2%로 가장 높았고 매출부진과 상품대금 회수율저조 각각 33.3%, 채산성 악화 25.3%, 진성어음 교환곤란 18.4% 순이었다.
한편 전자, 정보통신업계는 올해 매출 성장목표를 평균 10%정도 높게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목표를 가장 높게 잡은 업종은 정보통신기기업체로 이들 업체들은 작년보다 평균 23.4%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컴퓨터 소프트웨어업체들은 작년 매출액대비 약 1.7%적게 잡아 심각한 경기위축을 반영했다.
올해 총 투자도 작년보다 평균 15%낮은 85.6%수준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게 잡고 있는 업종은 역시 매출 성장목표를 가장 높게 설정한 정보통신기기업체들로 이들은 작년대비 9.3% 감소한 수준에서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는 컴퓨터하드웨어(작년대비 89%), 정보통신서비스(87.3%), 산업전자(85.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김성욱 · 최정훈 기자>
경제 많이 본 뉴스
-
1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조기 지정
-
3
GDP 2배 넘는 민간 빚…“금리 인하기, 금융취약성 커져”
-
4
빗썸, 휴면 자산 4435억원 반환 나선다
-
5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6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1500원대 초읽기
-
7
최상목 “韓 권한대행 탄핵소추 국정에 심각한 타격…재고 호소”
-
8
내년 실손보험 보험료 '7.5%' 오른다
-
9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10
녹색채권 5兆 돌파…“전기차·폐배터리 등 투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