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 유통 합리화

산업의 물류비가 제조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음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유통구조가 낙후되고 복잡한 경우 물류비가 제조원가나 생산자가격의 몇 배가 되는 경우도 허다한데 이는 분명히 국가적으로도 손실이지만 생산자나 소비자에게 모두 불이익을 가져다 주는 큰 문제다. 앞으로 유통시장 개방에 따라 선진 외국유통업체들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할 경우 현행의 불합리한 유통구조가 가져다주는 손실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정부가 올해 3천2백억원 규모로 책정한 산업기반기금 중 8백14억원을 유통합리화부문에 지원키로 한 것도 이같은 점에서 바람직한 조치로 이해되고 있다. 유통사업자의 공동집배송단지 건립이나 기업의 공동정보망 구축 등에 지원되는 이 유통합리화자금은 연 6.5%의 저리에 융자기간 8년(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의 중장기 융자라는 점에서 관련업계의 관심이 클 것으로 예상돼 왔다.

실제로 지난 4월 말 접수마감한 이 유통합리화자금의 융자신청액은 총 1천2백5억원으로 당초 정부가 책정한 8백14억원의 지원규모를 크게 상회할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 중소기업청이 지난 20일 발표한 융자신청액을 사업부문별로 보면 공동집배송단지 건립에 6백28억원이 융자신청돼 당초 지원예정액 3백34억원을 크게 웃돌았고 집배송센터 건립에 2백23억원이 융자신청돼 당초 예정액 1백억원을 2배 이상 상회했다. 이밖에 물류공동화사업 역시 2백43억원이 융자신청돼 당초 예정액 1백억원을 2배 이상 크게 상회했다.

중소기업청은 이 자금지원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통합리화사업 융자대상사업자 선정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대상자를 선정하고 통산부 장관의 확정절차를 거쳐 6월부터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2백억원을 배정한 물류표준화사업에 81억원이, 50억원을 배정한 유통정보화사업에 31억원이 융자신청되는 등 유통합리화사업의 핵이 되는 표준화 및 정보화사업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 특히 업종별 공동물류정보망 구축사업에는 단 1건의 융자신청도 없었다. 당국은 업종별 공동물류정보망 구축사업이 외면당하고 있는 것은 이사업이 화물업계와 물류업계의 공동사업인 데다 기술적인 어려움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어쨌든 유통합리화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업종별 공동물류정보망 구축사업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더욱 적극적인 자금지원 및 유인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