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터넷이 월드와이드웹(WWW)·화상회의·인터넷 폰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기존 인터넷으로 가입자에게 대용량의 대역폭을 제공하기는 역부족이다.
진정한 의미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는 초고속정보통신망이 구축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백본망 즉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는 수십 Gbps급의 속도가, 가입자접속은 1백55급의 접속 속도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것은 고품질의 데이터·음성·비디오 등이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광 전송로로 완성되는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이 완성된 후에야 가능하다.
정부의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계획에 의하면 일반 가정 및 기업체의 경우2015년이 되어야 기존의 구리로 된 전화선을 광케이블로 바꾸는 작업이 끝나게 된다.
정부의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하더라도 일반 가정에서는 약 20년 후에야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수십조원의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는 전제가 따르므로 섣불리 투자를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선진국에서는 응용 소프트웨어 부재로 사용이 미미했던 협대역 ISDN이 미국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인터넷의 접속수단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케이블TV회사들이 자사의 전송로를 이용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케이블 모뎀 제조업체와 손을 잡고 서비스 확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구리선을 이용한 ADSL(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장비가 기존의 28.8 한계를 극복한 기술로 최근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상용 서비스되고 있는 협대역 ISDN은 음성·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선로를 통해 함께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BRI(Basic Rate Interface) 서비스의 경우 두개의 B채널과 한개의 D채널(2B+D)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전화회선 하나로 전화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수많은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에 1백28급 ISDN을 가정에서 연결해 마치 근거리통신망과같은 성능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ADSL은 기존의 전화서비스망을 통해 한쪽 방향으로 수의 속도로 데이터를전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주문형 비디오·화상회의및 홈쇼핑 등에 적합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ADSL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측에서는 약 6, 가입자측에서는 64의 전송률을 가진다. ADSL 장점 중의 하나는가입자와 교환기간이 1대 1 접속방식이므로 사용자 증가에 대한 문제점이 없다는 것이다.
케이블 모뎀은 기존 케이블TV망을 통해 약 10의 속도의 데이터를 전송할수 있다. 현재 인텔·모토롤러 등 제조업체에서 이미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10의 속도는 다이얼 업 사용자의 28.8에 비해 3백배가 넘는 속도로 동화상같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주고받는 데 충분하며 인터넷 연결 외에도고속 온라인 서비스나 가상현실, 3차원 엔터테인먼트 등의 제공이 가능하다.
앞서 말한 대로 개인이나 기업체까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고속통신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터넷의 확산, 정보의 대용량화 등 사용자욕구가 점점 늘어나는 이 시점에서 어떠한 기술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우리 실정에맞는 기술은 조기에 적용해 정보통신의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발판으로 삼아야겠다.
SW 많이 본 뉴스
-
1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사업, 삼성SDS 컨소시엄 수주
-
2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3
삼성SDS 컨소,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수주…본사업 경쟁 귀추 주목
-
4
최상목 권한대행 “연내 GPU 1만장…내년 상반기까지 1.8만장 확보 추진”
-
5
라히리 오라클 부사장 “오라클, 기업 AI 워크로드 지원에 있어 독보적”
-
6
계엄·탄핵 유탄···印尼, 데이터센터 사업 백지화
-
7
성균관대, '국방 AI 기술교류 협력회의' 개최…산학연관 협력 강화
-
8
딥시크, 국내 앱마켓서 다운로드 잠정 중단…“기존 이용자는 주의해야”
-
9
올해 첫 망중립·강남 데이터센터 준공 앞뒀다
-
10
국정원, 보안기능확인서 요약결과서 발급 시행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