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보화사업 CALS프로젝트 해브

CALS 이행을 위해서는 디지틀화된 문서(Te.t), 2차원 또는 3차원 CAD로된 설계도면과 기술도면, 그리고 그래픽들도 전산망을 통해 모두 보내고 받을 수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필요한 전산망 구성과 함께 표준을 정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즉사업 발주서와 신청서를 포함한 무기체계의 설계와 제작에 관련된 데이터 와 NC 기계제어도 표준화된 코드로 작성되고 이렇게 표준화된 데이터가 컴퓨터에 의해 생성및 저장되며 또한 서로 다른 곳으로 보내지고 받아볼 수 있게되어야 한다.

이같은디지틀 데이터의 전송및 CALS 통합환경 구축을 위하여 CALS표준의 제정은 필수적이다. 이는 결국 정부와 업체와의 제품개발 및 생산계약, 생성된 데이터의 통합화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군 적용 CALS의 경우 단기적으로는기존의 국가/국제표준을 적용하여 군의 하부조직까지 기술정보의 디지틀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무기체계 계약자 및 정부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합하여 이를 설계, 제조.그리고 군수지원활동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CALS 표준을 정하고 개발하기 위해서 미국에는 국가 표준 및 기술 협회(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라는 기관이 있으며 이 기관이 관련업계나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CALS 표준화의 목적은 군과 업체간의 통합된 인터 페이스를 만드는데있다. 연결된 데이타 시스팀간이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디지틀 파일의 교환을 위해서는 자료교환 및 접근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이 필요한데 현행 CALS 표준은 국제 및 국가표준을 부분적으로 통합하거나 그대로 반영하여 적용 하고 있다.

한편 CALS를 한나라내에서는 물론 국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업체간 연구소와 업체및 국가간, 그리고 국가와 국가간에도 일정한 표준에 의하여 생성하고 저장및 전송될 수 있도록 적절한 국제표준도 정해져야 한다.

그리고CALS가 발전되어 감에 따라 CALS 표준의 적용환경은 점점 더 확대 되어질 것이며 따라서 추가적인 표준들의 정의가 필요한데 미국의 국가표준 및기술협회는 표준화과정에서 국제표준은 국가표준에 우선하고, 국가표준은 산업 협회나 무역단체의 표준에 우선하고, 산업협회표준은 정부의 일부 부서나 국방성내의 한단위의 표준에 우선한다는 우선순위 개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CALS 표준의 개발전략은 첫째 현재의 국제표준에서 우선 선정, 둘째현재의 국가 표준에서 선정, 셋째 업계에서 개발된 최선의 표준후보를 지원, 넷째 결원부분에 대해서는 업계의 개발노력을 촉진 장려하고, 다섯째 마지막으로 필요한 경우 군표준이나 군사양(SPEC)을 작성하는 것이다.

국제적수준에서의 표준화 활동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주제 이지만 그 외에 업체들이 중심이 된 국제전신전화협회(CCITT)나 국제전자 협회(IEC) 등도 표준화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미국국가표준협회(ANSI) 도 대부분의산업협회나 단체의 지원을 받고 있는 표준에 대한 인증을 맡는 등 표준 관리 업무를 촉진하고 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