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2000" 대토론회 요지

과기처는 21일 전경연회관 대회의실에서 오는 2000년까지 국내 소프트웨어산 업을 G7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국가 핵심소프트웨어기술개발 전략 (STEP 20000) 연구결과 발표 및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글정보 처리기술의 개발 과제와 전략"등 3건의 주제발표 및 분야별 토론에 이어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향후 10년간 범국가적으로 추진될 이 사업의 개발목표. 전략도출.중점과제발굴 및 연구개발추진체계 등 장단기국가 핵심소프트웨어 기술개발전략을 종합정리한다는 차원에서 정보산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이날발표된 각 주제별 기술개발계획안을 간추려 소개한다. 한글정보 처리분야 향후 10년간 총8백억원이 투입될 한글정보처리기술개발의 최종목표는 "우리 말 컴퓨터"의 개발이다.

우리말컴퓨터는 우리말.우리글의 사용은 물론 우리말을 외국어로 자동 통역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춤으로써 2000년대 고도정보화 사회를 실현하고 정보의 국제화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기술이다.

이는우리민족의 영원한 자산인 우리말을 컴퓨터로 구현하는등 새로운 정보 화 시대를 대비하는 "제 2의 한글창제"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우리말 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 1단계로 오는 96년까지 자판 입력을 기본으로 하는 문자단위의 입출력체계 및 검색.편집.조작기능의 보강과 표준 화를 통한 문자기반 한글정보시스팀을 완성할 계획이다.

2단계인99년까지는 음성.화상.문자 등 복합미디어를 다룰 수 있는 입출력체계 및 검색.저작.조작기술의 개발표준화를 위한 복합미디어기반 한글 정보시 스팀을 완성할 방침이다.

3단계인2003년까지는 자동통역.자연어기반자동검색.분야별 전자 사전 등 자연어기반 한글정보시스팀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위해 *한글 H.I *국어정보베이스 *지능형처리기 *개방형 한글 처리기 등 5대중점과제를 연차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한편 한글정보처리 기술개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키 위한 구체적 총괄기구로 "한글공학연구센터"를 가까운 시일내에 설립할 계획이다.

한글공학연구센터에서는연구과제의 도출.신청접수.평가.조정.연구결과에 대한 사후관리.정부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각계의 의견수렴.기본연구 수행.한글 정보처리 관련 데이터베이스(DB)구축.상품화를 위한 기술보급업무 등을 수행 하게 된다.

<최상현(KT소프트웨어연구소 부장> 소프트웨어 생산기술 분야향후 10년간 8백여억원이 투입될 이 분야의 최종개발목표는 2000년대 초까지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객체지향 지능형소프트웨어개발기술 및 통합적 관리체계 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분야에서는 우선 국내소프트웨어개발환경을 갖추기 위해 국내하드웨어 에서 사용되는 한글환경하의 소프트웨어생산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소프트 웨어개발방법론 및 도구를 개발, 폭발적인 증가추세에 있는 소프트웨어의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소프트웨어 품질향상 및 수입대체를 실현할 방침이다.

현재국내소프트웨어생산기술은 분야별 격차가 심하고 기술수준미흡 등으로 외국의 개발지원도구 및 방법론의 도입.사용에 따른 기술종속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선진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소프트웨어 산업의 국제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의 개발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1단계인 96년까지는 소프트웨어개발공정 및 관리체계표준화. 실용 적인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및 관리체계의 정립.구조적 개발방법.객체 지향 개발방법론 등 표준체계중심의 통합형생산기술을 개발, 실용화된 소프트웨어 생산기술의 자립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2단계인99년까지는 객체지향 지원도구의 개발 및 통합개발환경 구축, 대형 정보시스팀용 종합관리체계개발 등 개발환경중심의 개방형생산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3단계 2003년까지는 응용지식중심의 개발방법론 및 지원도구.프로그램 자동생성 지식기반시스팀등 응용지식중심의 지능형 생산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같은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표준화기술 *정보시스팀구축기술 개체지향개발기술 *생산성및 품질관리기술 *소프트웨어 재사용기술 *첨단 기반기술개발 등 총 6개의 중점연구과제를 선정,연차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주헌(외대교수)> 응용소프트웨어 기술분야 향후 10년간 총9백여원이 투입될 이 분야 최종목표는 국내자급도를 80%이상 으로 높이고 "세계최고수준의 응용소프트웨어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응용소프트웨어기술분야에서중점적으로 추진할 전략사업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공통핵심응용소프트웨어로 *교육훈련용 소프트웨어 컴퓨터그래픽스 (CG) 및 가상현실(VR) *실시간 시뮬레이션(RTS) *인공지능(AI) 등4개분야로 요약된다.

이에따라 1단계인 오는 96년까지는 이 전략분야에 대한 소프트웨어기술기반 을 구축하기 위해 교육용소프트웨어표준화 및 그래픽정보처리용 Tool-Kit(보 조프로그램집합체)개발,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시뮬레이터개발, 퍼지.신경 망.카오스이론 등 인공지능의 통합활용법 등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2단계인99년까지는 교육용소프트웨어품질평가도구의 개발 및 전문가형 시스팀개발 그래픽정보와 자동처리용 Tool-Kit개발, 실시간 시뮬레이터에 객체 지향, 병렬처리, 분산처리시스팀의 활용방법 등을 개발하는 한편 인공지능시 스팀에 멀티미디어기법을 접목하는 등 응용소프트웨어기반기술을 첨단기술에 접목하는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최종단계인 2003년까지는 지능형 CBT(Computer Based Training)시스팀의 개발 그래픽정보의 가상공간 자동표현 Tool-Kit개발, 지능형 실시간대용량 처리시스팀개발 지능형 예측 및 진단시스팀개발 등 지능형시스팀의 실용화에 주안점을 두고 이 분야의 기술개발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광형(KAIST교수)>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