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망 독립한 우리카드, 가맹점 직승인도 시동

우리카드가 독자 결제망 구축에 이어 차세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 절차에 착수했다. 직승인을 위한 기술 기준을 우선 정비한데 이어 계정계부터 개발 환경 고도화를 위한 테스트 인프라 구축에 돌입한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직라인 시스템 도입을 위한 신용카드 단말기 정보보호 기술기준 요건을 충족하고 참여사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기술기준 요건 충족에 따라 앞으로 우리카드도 주요 가맹점과 부가통신사업자(VAN) 없이도 직접 신용카드 거래를 승인할 수 있는 직라인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지난 2021년말 비씨카드 결제망을 사용하던 우리카드가 자체적으로 결제망으로 독립한지 3년여 만이다. 여타 카드사와 마찬가지로 카드 승인과정까지도 VAN사 없이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

이번 우리카드의 직라인 시스템 구축은 여타 카드사와 마찬가지로 중간 수수료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우리카드는 현재 정상 계약 기준 약 175만4000개 점포, 누적 가맹점 200만점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 직라인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후불결제 카드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대대적인 전산시스템 개편도 준비 중이다. 독자 결제망 도입 안팎으로 가맹점 확보는 물론 자체 발급 카드 비중도 크게 늘어난 만큼 신규 서비스 수요가 늘어날 것을 대비한 행보로 풀이된다.

실제 이달 들어 우리카드는 계정계 테스트 서비스용 서버 및 DBMS, 키관리시스템(Key Vault), 고가용성(H/A) 솔루션 등 관련 인프라를 대거 도입 중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가상화 계정계 테스트시스템 인프라 구축이 차세대 전환을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다만 자금조달 등 여러 문제로 좀처럼 진척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IT업계 관계자는 “가상화 계정에서는 현재 유닉스 기반의 기간계를 리눅스 기반으로 교체하기 위한 테스트 작업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우리카드 측은 본격적인 차세대 시스템 전환은 아직 다소 이르다는 입장이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차세대 계획이 없다”면서 “이번 입찰은 개발 생산성 향상과 장애 예방, 품질 확보를 위한 계정계 가상화 테스트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Photo Image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