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으로 총 1조405억원을 편성했다. 올해 5월 국회를 통과한 4조8267억원 규모의 1차 추경에 이어, 소상공인 채무부담 경감과 AI 기반 기술 확산, 지역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예산을 추가 투입한 것이다.
이번 2차 추경은 △소상공인 경영회복 및 정상화 △중소벤처기업 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 △AI 등 기술혁신 보급·활용 확산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현장 수요 기반으로 집중 편성됐다.
중기부는 이번 2차 추경을 통해 특히 코로나19 기간 누적된 소상공인의 채무 부담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상환 기간을 5년에서 7년으로 늘리고, 금리를 1%포인트 감면한다. 지역신용보증재단의 특례보증은 최대 7년 장기 분할상환, 폐업자 대상 분할상환은 15년까지 연장된다.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은 1차 추경에 이어 171억원을 추가 확보, 폐업 소상공인의 점포 철거·원상복구비를 최대 600만원까지 확대 지원한다. 스마트상점 보급 사업도 현장 수요를 반영해 예산이 늘어났다.
AI·바이오 등 유망 딥테크 창업기업 성장을 위한 '창업패키지' 사업은 420억원 증액됐고, 혁신창업 사업화 자금으로 2000억원이 추가됐다. 지역 제조 중소기업의 스마트 전환을 위한 ICT 융합 스마트공장 사업에도 AI 기반 자율형공장 구축을 위한 240억원이 반영됐다.
또한, 지자체가 자율 기획해 추진하는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이 신설돼 500억원이 편성됐고, 중소기업 모태펀드 출자 4000억원,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예산 120억원이 포함됐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2차 추경 예산안을 통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환경이 하루빨리 정상화되고 성장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1차 추경으로 이미 추진 중인 사업도 속도감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