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ELS 털어낸 은행···1분기 순이익 7조원

Photo Image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주요 시중은행들의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가 역대급으로 커지고 있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p)로 나타났다. 신한은행(1.51%p)과 하나은행(1.43%p)의 3월 예대금리차는 2022년 7월 공시집계 이후 가장 컸으며 KB국민은행(1.49%p)는 2023년 1월 이후, 우리은행(1.38%p)은 2023년 2월 이후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사진은 5일 서울 시내의 ATM 모습. 2025.5.5 superdoo82@yna.co.kr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이 7조원에 달하는 당기순이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분기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 등 일회성 비용이 해소되면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금융감독원이 23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은 6조9000억원으로 작년 동기(5조3000억원) 대비 1조5000억원(28.7%) 증가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이자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1000억원(0.8%) 감소했다.

이자수익 자산이 171조7000억원(5.3%) 늘어났지만, 시장금리 하락 등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같은 기간 0.10%포인트 하락한 영향을 받았다. 비이자이익은 2조원으로 1000억원(6.6%) 늘어났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인건비와 물건비 상승 등으로 4000억원(6.3%) 늘어난 6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손비용은 1조6000억원으로 3000억원(23.9%) 증가했다.

이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및 신용손실 확대 우려 등에 따른 충당금 전입 확대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영업외손익은 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ELS 배상금 등으로 2조2000억원 손실을 기록했던 작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한 것이다.

금감원은 “이자이익은 1000억원 감소했지만, 1조8000억원에 달하는 ELS 배상금 제외 효과 등으로 순이익이 늘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 관련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