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급한 불 껐다”…다음달까지 부실 사업장 절반 정리

Photo Image

다음달까지 전 금융권의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가운데 절반 이상 정리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은 부동산 PF 시장의 충격 우려를 상당 부분 해소했다고 자평하며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한구 금감원 중소금융부문 부원장보는 22일 전 금융권의 부동산PF 정리·재구조화 경과에 대한 브리핑을 열고 “오는 6월까지 PF 부실 23조9000억원 가운데 PF 부실 52.7%가 정리될 예정”이라면서 “하반기 이후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고 부동산PF를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레고랜드 사태, 2023년말 태영건설 사태를 계기로 부동산PF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금감원은 지난 2024년 6월부터 부실 사업장을 선별해 정리와 재구조화에 들어갔다. 두 차례에 걸친 사업성 평가에 따라 집계된 부실PF 규모는 약 23조9000억원으로 지난 3월까지 9조원 상당, 약 38.1%가 정리와 재구조화를 완료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금감원은 2분기 중으로 약 1조6000억원 규모의 중대형 사업장이 정리되고, 저축은행의 4차 PF정상화펀드에 1조5000억원 규모의 PF 여신 매각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펀드는 은행이나 보험업권의 신디케이트론이 선순위 투자자로 일부 참여한다. 또 4000억원 상당의 부실 사업장도 정보공개 플랫폼을 통해 현재 가격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오는 6월말 예상 잔여부실은 11조3000억원 수준으로 낮아질 예정이다. 은행 1000억원, 보험 5000억원, 저축은행 9000억원, 여전업 1조3000억원, 증권 1조9000억원으로 각 업권별 잔여 부실이 2조원 미만으로 남는다.

잔여부실의 절반 이상이 상호금융권을 비롯한 새마을금고 PF에 남은 셈이다. 상호금융권 PF의 경우 소액 공동대출이 많은 특성 상 대규모 매각이 쉽사리 진척되고 있지 않아서다.

시급한 불은 껐다고 판단하는 만큼 금감원에서는 하반기부터는 충당금 추가 적립 등 건전성 감독에 방점을 두고 관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추가 부실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부실 정리와 재구조화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한 부원장보는 “이제 큰 불은 진화를 했고 이제 잔불과 화재원인 찾기 위해 현장검사 착수한다고 보면 된다”면서 “현장검사 등을 통해 PF대출 취급 과정상 미비점이 확인되는 경우 즉시 보완하도록 하고 이를 업권에 공유함으로써 건전성 관리 및 여신심사 수준이 전반적으로 상향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Photo Image
업권별 정리·재구조화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