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메가비전 2025]“에이전틱 AI 성패, 3년 내 국가경쟁력 가른다”

Photo Image
IITP 테크&퓨처 인사이트 콘서트×IT메가비전 2025가 'AX시대,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로 열리는 미래 비즈니스를 주제로 1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에이전틱 AI, 새로운 AI혁명의 시작'을 주제로 기조강연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생성형 인공지능(AI) 다음 단계 기술 '에이전틱(추론) AI' 이 전 산업에 적용되고, 기업 경영을 판단·결정하는 역할까지 일상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정부는 한국이 에이전틱 AI 경쟁에서 밀리면 추후 도래할 '피지컬 AI' 시대에 대처하기 어려워진다고 v판단, 범부처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정책을 지원하고 규제를 개선한다.

전자신문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16일 서울 엘타워에서 공동 주최한 'IT 메가비전×IITP 테크&퓨처 인사이트 콘서트 2025'에서는 한국이 글로벌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민·관 전략이 제시됐다.

에이전틱 AI는 AI가 스스로 다양한 가설을 세워서 문제에 접근하는 추론방식으로, 인간 사고에 가깝다. 추론에 그치지 않고 분석한 결과와 정보 기반으로 실행한다.

Photo Image
IITP 테크&퓨처 인사이트 콘서트×IT메가비전 2025가 'AX시대,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로 열리는 미래 비즈니스를 주제로 1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에이전틱 AI, 새로운 AI혁명의 시작'을 주제로 기조강연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생성형 AI가 전문 컨설턴트라면, 에이전틱 AI는 수천명의 수석과학자 수준”이라며 “향후 3~4년 내 에이전틱 AI 성패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한국이 AI 투자가 늦었다는 비판이 있지만 이제 막 추론 AI 시대가 열린 만큼 투자와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여러 산업에서 적용 사례를 만든다면 분명히 기회는 있다”고 역설했다.

Photo Image
IITP 테크&퓨처 인사이트 콘서트×IT메가비전 2025가 'AX시대,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로 열리는 미래 비즈니스를 주제로 1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임의철 SK하이닉스 부사장이 'AI시대 메모리와 컴퓨팅 결합 반도체 기술'을 주제로 기조강연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임의철 SK하이닉스 부사장은 비용 대비 GPU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세싱 인 메모리(PIM)' 기술이 에이전틱 AI 시대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PIM은 CPU·G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이동량을 크게 감소시켜 전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임 부사장은 “반도체와 컴퓨팅 인프라에서 모두 PIM이 최적의 효율성을 발휘해 전체 에너지 비용을 줄여야 AI 산업이 지속 발전할 수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 AI 산업 위상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hoto Image
IITP 테크&퓨처 인사이트 콘서트×IT메가비전 2025가 'AX시대,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로 열리는 미래 비즈니스를 주제로 1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에이전틱 AI, 새로운 AI혁명의 시작'을 주제로 기조강연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주요 정부부처는 AI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 특화 AI 모델 개발 지원과 각종 규제 샌드박스 적용, 대규모 예산 투입 등 전방위 지원 수위를 높일 방침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전 부처에 걸쳐 3조7000억원 규모 예산을 AI에 편성해 기술 개발과 인재 확보 등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