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향후 2주 내에 의약품 품목별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데 대해 제약바이오업계가 대응에 나섰다.

셀트리온은 7일 회사 홈페이지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관련 입장·대응 전략'을 공지했다. 셀트리온은 입장문에서 현재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약 15개월 분의 재고 이전을 완련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올해 미국 내 판매분을 넘어 내년 상반기 판매분에 대해서도 관세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했다”면서 “중기적으로 당사는 미국 현지 위탁생산(CMO) 업체를 통한 완제의약품(DP) 생산 계약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내년 이후에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만큼 제조소와 물량 협의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장기 대응 차원에서 진행 중인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는 예비 검토는 마친 가운데 전체 내용을 포괄한 상세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셀트리온은 “제반 사항을 종합 검토해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리스크 대응책을 빠르게 마련하겠다”면서 “앞으로 미국 내 의약품 관세 정책이 확정될 경우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상세히 수립해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6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진행하고 있는 의약품·의약품 원료 수입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에 대한 공식 의견을 제출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한국이 미국 의약품 공급망에 있어 신뢰할 파트너인 점과 미국 고가 처방의약품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바이오협회는 미국 현지에 의약품 공급망이 구축되기 전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환자가 필요한 의약품의 공급 제한에 직면할 수 있는 점을 들었다. 또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허가한 70개 바이오시밀러 중에서 미국 기업 다음으로 한국 기업이 승인을 많이 받는 등 한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와 저렴한 의약품 접근성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미국 정부가 의약품·의약품 원료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의 무역 제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한다”면서 “부득이 현재 진행중인 의약품·의약품 원료에 대한 조처를 해야 할 경우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한국과 같은 동맹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의약품 원료는 면제할 수 있도록 당부했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세로 인한 국내 바이오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 정부·업계와 소통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비슷한 취지로 정부 의견서를 제출했다. 우리 정부는 범정부 통상에 적극 임하는 한편, 의약품 품목관세 동향을 면밀히 파악해 우리 업계 지원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지난달 25일부터 미국발 관세 조치로 인한 국내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바이오헬스산업 관세피해지원센터' 운영하고 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