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인증, 지난해 역대 최대치 기록…제도 개선 효과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GS인증 발급 현황

공공 소프트웨어(SW) 시장 진출 시 필수 인증으로 꼽히는 '굿소프트웨어(GS) 인증'의 지난해 발급 건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GS인증 발급 적체 현상 등을 해소하기 위해 내놓았던 심사 기간 단축, 비용 지원 등 제도 개선책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운영하는 SW산업정보종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GS인증 발급 건수(1등급 기준)는 883건이다. 2001년 GS인증제가 처음 시행된 이후 가장 많은 숫자로 전년(704건) 대비 180건 가량 늘었다.

최근 몇 년 새 증가율을 놓고 봐도 의미 있는 수치다. GS인증은 2021년 715건에서 2022년 719건으로 4건 증가한데 이어 2023년에는 704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다 지난 1년 새 180건 가량 급증한 것이다.


업계는 지난해 4월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GS인증 개선책이 인증 발급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해석한다.

과기정통부는 GS인증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심사원을 충원하고 GS인증기관별 심사 분야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GS 인증 소요 기간을 기존 평균 3개월에서 2개월로 단축했다. 또 인증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경미한 변경의 경우 재인증 수수료를 면제(건당 약 500만원)했다.

업계 관계자는 “GS인증은 공공 시장 진입 필수 인증인데 이전에는 6개월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었고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입장에선 비용 부담이 컸다”면서 “인증 기간 단축으로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공공 시장에 제품을 적시 공급하는 효과도 생겨났다”고 말했다.

황규철 과기정통부 국장은 “GS인증기간 단축, 재인증 비용 감면, 사전 상담지원 등에 업계의 좋은 평가가 있는 만큼, 제도 개선사항이 안착하도록 하는 한편 추가 보완사항 있는지 계속 모니터링 하겠다”고 말했다.

※용어설명:GS인증=일정 수준 품질을 갖춘 SW제품에 국가가 부여하는 인증제도다. 획득 시 공공 우선 도입 대상 제품으로 지정되는 등 공공 SW 시장 진출시 필수 요건으로 꼽힌다.

Photo Image
GS인증 발급 현황. 자료=과기정통부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