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차기 정부에서 부총리급 인공지능(AI)·과학기술 부처 격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예산 편성과 책임있는 집행 체계까지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I·디지털 대전환 시대에는 정파를 떠나 명운을 걸어야 한다고 국가 원로들을 향해 호소했다.

유 장관은 21일 서울시 롯데호텔에서 국가원로회의와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한 '2025 국가발전 심포지엄'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관련기사 *면〉
이날 행사 주제는 'IT강국에서 AI강국으로'였다. 국가 원로들이 AI 경쟁력 강화에 대한 정부와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유 장관은 “AI 기반의 디지털 대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문명사적 변혁이자 우리가 감당해야 할 시대적 소명”이라며 “차기 정부는 이에 부응할 수 있도록 범부처 차원의 자원 결집과 조정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국가 과학기술과 AI 디지털 정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거버넌스 마련이 필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 장관은 “과기정통부를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해 국가 디지털 권력을 종합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에 걸맞은 예산 편성과 책임 있는 집행 체계 또한 함께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유 장관은 6·3 대통령선거가 예정된 만큼, 사실상 2~3개월 가량 임기가 남은 것으로 관측된다. 그는 AI 정책이 추진력을 잃지않고 더 강화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 체계유지·강화와 함께 AI·과기 예산권까지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을 처음으로 드러내며, 국가 원로에게 전달한 것이다.

오명 국가원로회의 상임의장은 “우리나라는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가자는 구호를 외치면서 IT강국이 됐다”며 “AI 혁명은 정보 혁명보다도 더 빠르게 더 큰 영향을 주면서 진행되는 상황에서 원로들이 방향성을 제시하고 AI 강국을 실현하는데 앞장서자”고 역설했다.

윤진식 한국무역협회장은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미래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50년 넘게 축적해 온 제조업과 IT 기술의 역량을 첨단 AI 기술과 결합해 독보적인 경쟁력을 창출하고, 투자는 늘리고 규제는 과감하게 철폐하는 시너지를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 강도현 과기정통부 차관은 기조강연을 통해 국가AI컴퓨팅센터와 월드베스트LLM, 인재육성 전략 등 과기정통부의 주요 AI 정책을 소개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